"비전·책임 심지어 상식도 망각" 비판

[더팩트ㅣ국회=이하린 기자] 국민의힘 친윤(친윤석열)계가 대선 패배 후에도 정치적 책임은 외면한 채 '당권'에만 몰두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조기 대선의 원인이 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과 탄핵에 이어 대선 후보 교체 파동 등 당을 몰락 위기로 빠뜨린 당사자들이라는 평가를 받으면서다.
국민의힘은 이틀간(9~10일)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거취와 개혁안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9일 의원총회에서는 친윤계와 친한(친한동훈)계 중심으로 충돌하며 5시간 넘도록 난상 토론을 벌였지만, 어떤 의제에 대해서도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종료됐다.
김 위원장은 당내 반대 목소리에도 개혁 의지에 대한 뜻을 굽히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은 10일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열린 제38주년 6·10 민주항쟁 기념식 이후 기자들과 만나 "내 임기를 채우는 것이 중요한 것은 아니"라면서 "의총에서 의원들이 제가 제시한 개혁안을 받을 것인지, 말 것인지에 대한 대답을 하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자꾸 개혁안에 대해 절차가 어떻고, 임기가 어떻고 말하는 것은 개혁안을 받아들일 의지가 없다고 해석될 것"이라고 직격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8일 국회에서 5대 개혁안을 발표하고, 임기를 연장해서라도 개혁을 완수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구체적으로는 △9월 전당대회 개최 △대통령 탄핵 반대 당론 무효화 △대선 후보 교체 시도 당무 감사 △당론 채택 시 민심·당심 반영 △100% 상향식 지방선거 공천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친윤계를 중심으로 거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김대식 의원은 10일 SBS 라디오에서 "전쟁터에서 우리가 졌으니, 장수는 책임을 지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반성하는 것"이라며 "저는 첫날부터 (김 위원장이) 물러나는 게 맞다고 이야기했다"고 김 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9일 5시간 넘게 진행된 의원총회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됐다. 김 위원장이 제시한 개혁안이 친윤계를 겨냥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진 것이다. 한 중진 의원은 의원총회 도중 기자들과 만나 "친윤계 의원들이 김 위원장에게 아주 강하게 사퇴하라고 발언했다"며 "아직도 친윤계 의원들은 역사 앞에 어떤 잘못을 했는지 인식을 잘 못하는 것 같다"고 했다.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개혁 의지에 대해선 의원들의 생각이 다르지 않다"며 "다만 제기하는 방식이나 주체에 관한 얘기가 있었다"고 했다. 이어 "개혁하면 안 된다든지 저지해야 한다든지에 대한 말은 없었다"며 "적절한 개혁을 해야 하는데, 김 비대위원장이 던지는 걸 다 개혁이라고 생각하고 그걸 반대하면 개혁을 반대하는 프레임으로 가져가면 안 된다"고 반박했다.
정치권에서는 일련의 사건들에 책임이 있는 친윤계 의원들이 책임을 회피하고 사실상 농성을 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당내 기반이 강한 PK(부산·울산·경남)와 TK(대구·경북)를 중심으로 다시 당권을 장악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이날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국민의힘 당권파 주류는 민심 거꾸로 가는 당심을 업고 비전도, 책임도, 심지어 상식도 망각한 채 오직 그들의 정치적 이익에만 매몰되어있다"며 "그들이 당권을 쥐고 당 주류로 있는 한, 국민의힘은 완전히 해체 후 재창당 외에는 국민의 지지를 받는 정당이 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 이메일: jebo@tf.co.kr
-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