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전략부' 신설로 정책 실현 가능성 강조
이재명과의 차별화 공략도

[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대권 도전을 선언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대선 슬로건은 '성장하는 중산층'이다. '중도 확장력'이란 강점을 살려 보수 진영에서 외연 확장이 가능한 유일한 후보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포석으로 읽힌다. '양극화 해소'라는 시대정신에 적절한 정책비전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한 전 대표는 15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장하는 중산층의 시대'를 핵심 공약으로 제시했다. 그는 "한동훈의 보수는 실용적이고 혁신적인 자세로 경제 문제를 풀겠다"라며 "그 출발점이 바로 중산층 복원이며, 이는 곧 경제안보, 사회적 가치, 혁신 경제로 확장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산층을 두텁게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소득과 복지는 강화하고, 세금과 물가는 내린다'는 구체적인 구상을 제시했다. '3·4·7(AI G3·국민소득 4만 달러·중산층 70% 확대'‘를 미래 성장 비전으로 내세우고, 가족 친화적인 조세제도 정착을 모색하고 맞춤형 복지 혜택을 보장하는 한편 물가 안정을 통해 실소득을 늘리겠다는 것이다.
한 전 대표는 자신의 정책비전이 그동안 보수 정권이 내건 비전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그는 "그동안 보수 정권과 보수 정당에서 ‘중산층’을 핵심 정책이나 슬로건으로 내건 적은 없었다"라며 "그동안 보수가 진심을 보이지 못했던 복지국가, 한동훈이 적극 추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한 전 대표의 정책·공약을 총괄하는 안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제 기억으로는 역대 보수당 대권주자 후보들 중 처음으로 복지국가 이야기를 가장 앞자리에 하는 후보"라고 설명했다.

한 전 대표는 자신이 내건 정책의 실현 가능성을 강조했다. 현재 여러 부처에 분산돼 있는 복지 제도 및 프로그램을 조정할 업무를 맡을 정부부처를 신설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이 모든 정책을 실현하고 뒷받침할 국가 차원의 산업 전략 조직, 가칭 ‘미래전략부’를 신설하겠다"고 말했다.
안 의원도 "중추 기획조정 부처로서 미래전략부가 필요하다고 본다"라며 "예컨대 비슷한 복지 프로그램이 많은 부처에 산재해 있을 때 어느 부가 맡아서 하는 걸로 몰아준다든지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단순화해야 국민이 복지를 찾아 누릴 수 있다"고 부연했다.
한 전 대표는 "저는 이재명식 복지 포퓰리즘, 미래세대 빚으로 현세대 빚 잔치하는 가짜 정책은 하지 않겠다"며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의 차별화도 부각했다. 그는 "복지국가가 지속하려면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이 필요하다"라며 "기본소득 같은 현금복지보다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성장을 돕도록 서비스 복지부터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중도층에게 높은 평가를 받는 오세훈 서울시장의 불출마·유승민 전 의원의 당 경선 불참의 반사이익을 흡수할 가능성이 가장 큰 한 전 대표 입장에서 중도층을 설득할 카드로 중산층과 복지를 내세운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한 전 대표 측은 정책에 있어 이들과의 연대 가능성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안 의원은 "저희가 준비한 것(정책) 이외에도 다른 주자나 유 전 의원, 오 시장 등이 준비했던 좋은 것들이 있으면 보수형 정책을 만드는 데 충분히 같이 조율해서 담을 수 있다"라며 "열린 마음으로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민생이 어려운 상황에서 한 전 대표가 시대적인 과제로 경제정책의 큰 방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라며 "당내 중도층 전략을 제시할 때 가장 효과적인 사람이 한 전 대표인 만큼 그에 맞게 중산층과 서민들의 표심을 얻기 위한 포석"이라고 분석했다.
sum@tf.co.kr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 이메일: jebo@tf.co.kr
-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