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

검색
전국
충남도, 김산업 10년 미래 그린다…국내외 경쟁력 강화 전략 마련
김산업 육성 발전 계획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개최

28일 충남도청 문예회관에서 '충남 김산업 육성 발전 발전계획 연구용역 착수보고회'가 열리고 있다. /충남도
28일 충남도청 문예회관에서 '충남 김산업 육성 발전 발전계획 연구용역 착수보고회'가 열리고 있다. /충남도

[더팩트ㅣ내포=이정석 기자] 충남도가 도내 수산 경제를 견인하고 있는 김산업의 국내외 경쟁력 강화 등 미래 10년을 책임질 육성 전략 마련에 나섰다.

충남도는 28일 도청 문예회관에서 전상욱 해양수산국장을 비롯해 시군 관계자, 전문가, 부경대·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연구진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충남 김산업 육성 발전 계획수립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구는 국가의 김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및 김산업 진흥 기본계획 등과 도의 김산업 육성 계획 간 연계성을 확대해 체계적인 중장기 계획 도출을 목표로 추진한다. 주요 과제는 △국내외 김산업 분석 △충남 김산업 실태조사 및 현황 분석 △김산업 육성 발전을 위한 분야별 세부전략 수립 △정책제언 등이다.

국내 농수산물 수출품목 중 단일품목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김 수출액은 지난해 말 기준 9억 9700만 달러로, 2010년 1억 1000만 달러 대비 9배 성장하며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도는 물김 생산량 점유율이 6~7% 수준임에도 마른김과 조미김 중심으로 지난해 1억 950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 전국 수출액의 19.5%를 차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그러나 최근 기후 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으로 저수온에서 양식이 적합한 김 양식 적지가 북쪽으로 이동하고 있는 데다 산업적 가치가 있는 새로운 품종의 개발이 부진해 매년 고품질 김 생산의 어려움이 심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도내 마른김 가공업체는 전남 마른김 특화단지의 대규모 업체와 비교해서 영세한 실정이고, 지하수와 수원지의 용수 고갈 및 세척수의 배출 처리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도 절실한 실정이다.

전상욱 충남도 해양수산국장은 "충남은 국내 주요 김 생산 및 가공 지역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지역"이라며 "연구용역을 통해 도내 김산업의 미래 전략을 구체화하고, 김 산업 현장과 소통하며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tfcc202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
· [르포] '따뜻한 달리기' 벤츠 기브앤 레이스…파란 물결 위 2만 발걸음
· [롤링홀 30년①] 음악·추억·마음이 쌓인, 작지만 큰 공간
· [내가 본 '박경림'] '뮤덕'의 뜻깊은 도전
· [윤석열 파면] 폭도로 변한 1인 시위...'표현의 자유' 방패로 활개
· [인터뷰] 홍장원 "헌재 결정문, 정말 교과서적…제자리로 돌아가겠다"
회사소개 로그인 PC화면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