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11일 열린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시정질문에서 TBS(교통방송) 지원 중단 사태와 관련해 박유진 더불어민주당 시의원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정면으로 맞붙었다. 박 의원은 "180여 명 직원이 10개월간 월급 없이 방송을 만들고 있다"며 "서울시 책임은 없는가"를 따졌고, 오 시장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훼손한 책임도 무시할 수 없다"고 응수했다.
이날 박 의원은 "김어준 씨를 내세운 편향 방송에 세금이 쓰여선 안 된다는 판단으로 정리가 됐지만, 방송국에 남아 있는 직원들은 무슨 죄가 있느냐"며 TBS 미디어재단의 현실을 지적했다.
박 의원은 "현재 TBS는 방송 3개를 필사적으로 운영하고 있고, 직원들은 10개월째 무급 상태로 일하고 있다"며 "서울시가 월 1억원 정도의 최소한의 지원만 유지하고 있다는데, 이게 말이 되느냐"고 질타했다.
이에 오 시장은 "의회가 지원 중단 조례를 통과시킨 상황에서 서울시가 직접 도울 수 있는 수단이 제한적"이라며 "그래도 의회에 여러 차례 연장 요청을 했고, 실제로 한 차례 5개월 연장되기도 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오 시장은 "현재 인수 의향을 보였던 기업이 있었지만, 지금은 다소 소극적인 상황으로 보인다"며 "직접 지원은 어렵지만, 민간 인수 방식 등 현실적인 회생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양측의 공방은 TBS의 편향성 논란으로 이어졌다. 박 의원은 "청취율 1위 프로그램이 5년 연속 나왔던 방송이다. 언론은 정치와 달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오 시장은 "청취율이 높은 것이 객관성과 공정성을 보장하진 않는다"며 "TBS가 정치적으로 편향됐던 시기가 있었고, 일부 직원은 그 흐름에 동조한 책임도 있다"고 맞받았다.
이어 그는 "편향성이 없었다면 지원 중단까지는 가지 않았을 것"이라며 "한 인사가 퇴사하며 ‘다시 돌아오겠다’는 발언으로 오히려 의회의 반발을 불러일으킨 측면도 있다"고 덧붙였다.
박 의원은 "김어준은 이미 유튜브에서 잘살고 있다. 방송국을 떠난 사람보다 남아 있는 180명의 삶이 더 중요하다"며 "서울시가 TBS를 회생시킬 의지가 있는지 분명하게 밝히라"고 재차 물었다.
이에 오 시장은 "TBS 재정 지원은 시의회의 결정사항이지만, 인수 기업 유치를 통해 방송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 이메일: jebo@tf.co.kr
-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