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

검색
사회
[탄핵 선고 D-2] '헌재 앞 뺑뺑이'에 시민 울상…"그래도 파면된다면"
북촌로·율곡로·삼일대로 교통 통제
헌재 인근 주민, 직장인 등 불편 호소
"국민 분열 끝날 수만 있다면 감수"


2일 오전 9시께 헌재 인근은 차량 통행이 제한됐다. 안국역사거리를 중심으로 안국동사거리까지 율곡로와 재동초등학교까지 북촌로는 양방향이 통제됐다. 수운회관까지 이어진 삼일대로도 집회로 인해 전면 통제됐다. /장윤석 기자
2일 오전 9시께 헌재 인근은 차량 통행이 제한됐다. 안국역사거리를 중심으로 안국동사거리까지 율곡로와 재동초등학교까지 북촌로는 양방향이 통제됐다. 수운회관까지 이어진 삼일대로도 집회로 인해 전면 통제됐다. /장윤석 기자

[더팩트ㅣ이윤경·이다빈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이틀 앞둔 2일 헌법재판소(헌재)를 중심으로 경비 태세가 강화되면서 일대는 혼란을 빚었다. 도로 통행이 통제되고 지하철 3호선 안국역이 폐쇄됐으며, 상점까지 문을 닫아 시민들은 불편을 호소했지만 "윤 대통령이 파면된다면 충분히 감수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날 오전 9시 서울 종로구 헌재 인근은 차량 통행이 제한됐다. 안국역사거리를 중심으로 안국동사거리까지 율곡로와 재동초등학교까지 북촌로는 양방향이 통제됐다. 수운회관까지 이어진 삼일대로도 집회로 전면 통제됐다. 안국역 인근까지 진입한 한 오토바이 운전자는 경찰버스로 세워진 차벽에 가로막히자 "돌겠다"고 외치며 도보로 이용이 가능한 출구를 찾았다.

안국역 플랫폼에는 '1, 2, 3, 4번 출구 폐쇄 중', '5, 6번 출구 이용 바랍니다' 등 문구가 곳곳에 붙었다. "탄핵 관련 집회 등으로 안국역 인근이 혼잡하다"며 이용 가능한 출구를 안내하는 방송만 연신 흘러나왔다. 역사 내 위치한 액세서리 가게는 문을 닫은 모습이었다.

시민들은 안국역을 간신히 빠져나온 뒤에도 인도에 설치된 경찰 방호벽과 바리케이드에 막혀 발을 동동 굴렀다. 안국역 1번 출구 앞에서 경비를 서는 경찰관을 향해 "병원에 가야 한다", "횡단보도만 건너게 해달라", "출근은 해야 하지 않겠냐"고 항의하는 이들도 있었다. 한 택배 노동자는 "배송을 위해 근처에 차량을 주차하고 걸어왔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시민들은 불편을 견딜 수 있다며 윤 대통령 파면을 촉구했다. 직장인 김모(41) 씨는 안국역 3번 출구 앞에서 발길을 돌리며 "근처 주차장에 정기권을 끊어놨는데 (차량이) 들어오지 못해 동대입구역에 주차하고 지하철을 타고 왔다"고 설명했다.

경찰청은 4일 전국에 갑호비상을 발령하기로 했다. 전국 주요 시설에는 338개 기동대 경력 2만여명을 배치한다. /장윤석 기자
경찰청은 4일 전국에 갑호비상을 발령하기로 했다. 전국 주요 시설에는 338개 기동대 경력 2만여명을 배치한다. /장윤석 기자

이어 "지하철 출구도 막혀서 돌아왔다. 출근길인데 지금 늦었다"면서도 "불편하긴 하지만 이번 주 끝난다고 생각하니 감수할 수 있다. 탄핵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방호벽을 피해 돌아왔다는 한 여성도 "밤에는 시위 때문에 시끄러워서 잠도 못 잔다"면서도 "국민들이 서로 분열하고 혐오하는 상황이 끝날 수만 있다면 지금 불편한 건 참을 만하다"고 말했다.

헌재 인근에 거주한다는 70대 여성은 "낮엔 마을버스가 다니지 못하니 집에까지 걸어가야 한다. 길도 여기 저기 다 막아놓고 돌아가라고 해 평소보다 20분 더 걸린다"며 "열불 나서 못 살겠지만 빨리 파면되고 상황이 정리되면 좋겠다"고 했다.

헌재 인근 상점들은 이날 일찌감치 선고일 혼란에 대비하는 모습이었다. 안국역 6번 출구 앞 한 상점에는 '오는 4일 안국역 폐쇄 및 헌재 인근을 포함한 서울 도심 일부가 특별 범죄 예방 강화구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임시 휴점한다'는 안내판이 세워졌다.

채소와 과일 등 상하기 쉬운 식품을 판매하는 한 상점은 30% 할인에 들어갔다. 상인은 "내일 영업 안 할 수도 있다. 오늘도 시위 때문에 영업을 끝까지 할 수 있을까 모르겠다"며 "물건을 털어내고 정리하기 위해서 내놓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근 나머지 상점들도 선고일 휴업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헌재는 전날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을 오는 4일로 지정했다. 탄핵소추안이 지난해 12월14일 국회에서 국회의원 재적 300명 중 204명이 찬성하며 가결된 이후 111일 만, 변론기일 절차 종료 이후 38일 만이다.

경찰청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전국에 갑호비상을 발령하기로 했다. 헌재가 있는 서울은 210개 기동대 경력 1만4000여명이 집중 배치된다. 헌재 탄핵 선고 전후 폭력사태에는 무관용 원칙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bsom1@tf.co.kr

answeri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
· '영부인 방탄복' 사라진 김건희…검찰 출석 초읽기
· '개헌 아닌 내란종식' 택한 이재명…우원식 제안 사실상 거절
· 대통령기록물 이관 시작…韓, 계엄 문건 '봉인' 여부 촉각
· 국힘, '尹 탄핵 안고' 대선…'중도층' 외연 확장 사활?
· "경선만 통과하면 해볼만"…'대선주자' 오세훈, 중도확장력에 자신감
회사소개 로그인 PC화면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