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

검색
사회
박안수 "혐의 부인" vs 곽종근 "모두 인정"...재판 분리하기로
박안수 "사전모의·국헌문란 없어"
곽종근 "검찰 제출 모든 증거에 동의"


내란 혐의를 받는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12·3 비상계엄을 사전에 모의한 적이 없고 국헌 문란 등 목적이 없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박 총장이 지난 2월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청문회'에 참석하고 있다. /국회=박헌우 기자
내란 혐의를 받는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12·3 비상계엄을 사전에 모의한 적이 없고 국헌 문란 등 목적이 없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박 총장이 지난 2월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청문회'에 참석하고 있다. /국회=박헌우 기자

[더팩트ㅣ선은양 기자] 내란 혐의를 받는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12·3 비상계엄을 사전에 모의한 적이 없고 국헌 문란 등 목적이 없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함께 재판에 넘겨진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은 공소 사실을 모두 인정한다고 했다.

중앙지역군사법원은 26일 오후 내란 중요임무 종사,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박 총장과 관 전 사령관의 첫 공판기일을 열었다.

이날 곽 전 사령관은 군복 차림으로 법정에 출석했다. 박 총장은 군복 차림에 마스크를 낀 채 법정에 들어섰다. 곽 전 사령관은 뒤이어 출석한 박 총장에게 목례를 하기도 했다.

군검찰은 박 총장과 곽 전 사령관이 윤석열 대통령,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 등과 비상계엄을 사전 모의하고, 위헌·위법한 포고령에 근거해 국회와 중앙선관위원회 등 헌법기관을 강압해 권능 행사가 불가능하게 만들었다고 봤다. 국헌문란의 목적으로 무장군인 1605명과 경찰 3144명을 동원해 지역의 평온을 해하는 폭동을 일으켰다고도 판단했다.

이 과정에서 문 전 사령관이 군인·경찰 등에게 지휘·감독 권한을 남용했고, 선관위 직원을 통제하며 이들의 직무수행을 방해했다는 혐의도 제기됐다.

박 총장 측 변호인은 "공소 사실 중 사실 관계는 인정하지만 비상계엄을 대통령, 장관 등과 사전 모의한 적이 없고 국헌 문란 목적, 폭동 고의가 없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

박 총장 측은 공소 사실에 기억과 다른 부분이 있다며 일부 사실 관계를 부인했다. 또 당시 비상계엄 선포의 위헌·위법성을 인지하지 못했고 항명죄를 피하고자 김 전 장관의 명령에 따랐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내란 혐의를 받는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이 공소 사실을 모두 인정했다. 곽 전 사령관이 지난 2월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국회=배정한 기자
내란 혐의를 받는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이 공소 사실을 모두 인정했다. 곽 전 사령관이 지난 2월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질의에 답변을 하고 있다./국회=배정한 기자

반면 곽 전 사령관 측 변호인은 "시간 기재 오류 등을 제외하고는 공소사실 전부를 인정한다"고 밝혔다. 다만 군검찰 측에서 제기한 동시 공모 부분은 사실과 다르다며 곽 전 사령관을 비롯한 군 지휘관들의 행위는 순차 공모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곽 전 사령관 측은 군검찰 측에서 제출한 증거에 모두 동의하고 추후 증거 조사 없이 법원에 제출하는 것에도 동의했다.

곽 전 사령관 측은 이날 재판부에 보석을 신청했다. 곽 전 사령관 측 변호인은 "공소 사실을 모두 인정하고 있어 도주 우려가 없고 대학병원 외래 진료를 위한 치료 목적도 있다"며 불구속 재판을 요청했다.

재판부는 공소 사실을 놓고 두 사람의 의견이 달라 앞으로 공판을 분리해 진행하기로 했다. 재판부는 내달 24일 오전 10시에 박 총장에 대한 다음 공판기일을 열고 증인신문을 진행한다. 곽 전 사령관의 다음 공판 기일은 추후 지정해 고지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 1월 3일 검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본부는 두 사람을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했다.

국방부는 지난 1월 곽 전 사령관을 보직해임하고 자동 전역을 막기 위해 기소휴직 조치했다. 박 총장에 대해서도 지난달 기소휴직이 발령됐지만 보직해임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두 사람은 현역 신분을 유지한 채로 군사법원에서 재판을 받게 됐다.

박 총장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게 '국회·정당 등 일체의 정치 활동을 금지'하는 포고령을 건네받아 직접 서명하고 발령한 혐의를 받는다. 조지호 경찰청장에게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국회 경찰력 증원과 국회 출입 차단을 요구한 혐의 등이 있다.

곽 전 사령관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707특수임무단과 1공수특전여단을 국회에 침투시켜 국회의원들의 계엄 해제 의결 방해를 시도한 혐의를 받는다. 군인들을 선거관리위원회 3곳에 출동시켜 봉쇄를 지시한 혐의 등이 있다.

ye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
· [탄핵 선고 D-1] 역사에 기록될 재판관들…'캐스팅보트' 김복형·김형두·조한창
· [탄핵선고 D-1] 與 잠룡들 '승복' 메시지 속 韓의 '침묵'?
· [탄핵 선고 D-1] 尹 파면→조기대선 or 복귀…주문 읽는 즉시 결정
· 푸틴 "시진핑, 전승절 주요 내빈"…김정은도 초대할까
· [탄핵 선고 D-1] 다시 불붙는 '이재명 대 윤석열'
회사소개 로그인 PC화면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