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이철영·박대웅 기자] 지난달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발생한 세월호 참사로 지난 1987년 6월29일 32명이 집단 자살한 '오대양 사건'이 수면으로 올라왔다. 32명이 집단 자살하고 기독교복음침례회(일명 구원파)와 관련된 사실 그리고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과의 관계가 알려지며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13일 <더팩트> 취재진은 지금으로부터 27년 전 32명이 집단 자살했던 '오대양 사건' 현장을 직접 찾았다.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북2리에 위치한 '오대양 사건' 현장은 서울에서 불과 1시간 남짓 거리에 위치해 있다. 십수 년이 지난 만큼 주변은 물류센터들이 들어서며 활기를 띠고 있었다. 그러나 '오대양 사건'이 발생한 현장은 용인시에서 한참 떨어진 곳으로 27년 전 끔찍한 집단 자살사건이 발생했다고 하기엔 한적한 시골 마을이었다.
◆ 오대양 사건 현장 이젠 잔해만…철저한 출입통제
이날 오후 찾은 오대양 사건 현장은 언뜻 보기엔 과연 이곳에서 32명이 집단 자살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없는 전경이었다. 하지만 32명이 목숨을 끊은 집단 자살이 주는 음침한 기운이 맴돌았다. 특히 그 누구도 들어올 수 없다는 듯 공장 주변엔 녹슨 철조망이 둘러쳐 있었다.
사건 당시 (주)오대양 공장건물이었던 그곳은 사건 이후 다른 이에게 인수됐고 현재 매물로 나와 있는 상태다. 그러나 현재는 물론 과거에도 공장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는 것이 주민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공장 앞에서 만난 한 주민은 "공장 문이 열렸다 닫혔다 한다. 가동 안 된 지 꽤 된 것 같다"고 말했다. 다른 주민은 "뭐 하는 곳인지 잘 모르겠다. '오대양 사건' 후 크게 눈에 띄지 않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취재진은 문패도 없이 사설 경비업체 상호와 빛바랜 입간판만 덩그러니 놓인 정문을 따라 비탈진 공장 안으로 들어갔다.
"왜 허락도 없이 들어오고 그래. 나가!" 정문을 따라 몇 걸음 걷자 두 명의 성인 남성이 소리쳤다. 주민들은 "최근까지 경비가 없었는데 언제 생겼는지 모르겠다"고 입을 모았다. 세월호 참사 후 쏟아지는 여론의 관심과 취재 열기에 나름 자구책을 마련한 것으로 보인다.
사유지인 공장 내부를 피해 산길을 따라 '오대양 사건' 현장으로 다가갔다. 경사진 산길은 통행의 흔적이 없었는지 수북이 쌓인 낙엽과 잔가지, 미끈거리는 황토로 가득해 금세 구슬땀이 등줄기를 타고 흘러내릴 정도였다. 얼마 후 초여름 녹음에 가려진 '오대양 사건' 현장이 시야에 들어왔다. 녹슨 철책이 27년이 지난 지금도 외부인의 출입을 단호하게 거부하고 있었다. 수풀 사이로 본 '오대양 사건' 현장은 이미 허물어지고 콘크리트 잔해만 가득했다.
'오대양 사건' 당시 사체가 발견된 식당 건물이 언제까지 존재했는지를 관리인에게 물었으나 관리인은 "모른다. 나가라"고 윽박질렀다.

◆ 시세 3.3㎡당 100만 원선 하지만…'60~70억 원, 아니면 말고'
32명이 집단 자살한 '오대양 사건' 현장은 현재 이렇다 할 생산 활동 없이 건물과 토지만 유지되고 있었다. 등기부등본 확인결과 공장 터와 건물은 경기도 용인시의 E업체가 2011년 5월부터 소유하고 있다.
주변 부동산중개인은 "해당 건물과 토지가 이미 수년 전부터 매물로 나왔다"면서 "워낙 판매가격이 높아 팔리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변 시세를 고려할 때 그 곳(오대양 공장) 시세는 잘 받아야 평(3.3㎡)당 100만 원에서 150만 원 안팎이다. 하지만 평당 200여만 원 정도로 60억~70억 원 매물로 나온 것으로 기억한다"고 답했다.
이어 다른 부동산중개인은 "솔직히 건물은 다 허물고 다시 지어야 하는 등 비용이 많이 든다. 3.3㎡당 100만 원 받기도 어렵다. 중개인 입장에서는 소개하거나 권하고 싶지 않은 매물이라 머릿속에서 지운 상태다"라고 덧붙였다.
철골 및 경량철골, 패널 지붕 등으로 구성된 오대양 공장은 '오대양 사건'이 일어났던 식당 등이 있는 본동을 비롯해 공장 등 세 개 건물로 구성돼 있다. 대지 면적은 1만4375㎡(4342평) 규모다. 특히 건물과 공장 터에 140억 원대의 근저당이 설정돼 있어 앞으로도 팔릴지 불분명한 상황이다.
<더팩트>은 E업체에 '오대양 사건' 부지 구매 동기와 경위 등을 문의하기 위해 홈페이지 및 감사보고서 등에 공개된 연락처로 연락을 취했다. 업체 관계자는 "우리는 기와를 만드는 곳으로 E업체와 전혀 무관하다"고 말했다. 취재 결과 E업체는 현재 이전 작업으로 대지 매입 등에 관해 설명할 담당자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 27년 전 32명 집단 자살, '오대양 사건'은?
최근 세월호 참사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오대양 사건'. (주)오대양은 지난 1984년 5월 박순자에 의해 설립됐다. 오대양 사건 시 사망한 박순자는 직원들과 함께 초기 기독교 사회의 경제형태인 '통용(通用)'의 원리에 따라 생활했다. 이들은 1987년 8월 29일 오대양 용인공장 천정에서 오대양 직원 등 32명(여자 28명, 남자 4명)이 집단변사체로 발견됐다. 검찰은 박순자가 300여 명으로부터 200여억 원의 사채를 빌린 뒤 변제가 불가능하게 되자 다른 비리들도 폭로될 것을 두려워한 끝에 다른 변사자들의 동의를 얻어 집단자살하기로 한 것으로 봤다. 변사자들은 모두 손발이 묶인 채 231㎡(70평) 천정에 엉켜있었다.
사체는 부검 후 이틀 만에 모두 화장 처리됐다. 타살 가능성과 함께 집단 변사의 배후에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지만 끝내 검찰은 "박순자의 지시에 따른 집단 자살"로 결론 내렸다.
'오대양 사건' 발생 4년 뒤인 1991년 7월, 구원파 신도 6명은 "박순자의 지시에 따라 직원들을 집단으로 구타해 사망하게 한 뒤 암매장했다"고 충남 경찰청에 자수했고, 자수 동기와 배후세력 존재 여부, 집단변사사건 및 오대양 관련 의문점에 관한 재수사가 있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됐다.
박찬종 당시 통일민주당 의원은 박순자가 끌어모은 사채 중 일부가 사채모집책 송재화를 거쳐 유 전 회장에게 유입됐으며 실제로 사채가 건네진 사실을 포착했다. 그러나 검찰은 그해 8월 유 전 회장을 상습사기혐의로 구속했을 뿐, 숱한 뒷말을 남기고 또다시 수사를 종결했다.
'오대양 사건' 당시부터 현재까지 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은 또다시 언론이 주목하는 것에 큰 부담은 느끼지 않는 분위기였다. 취재진을 만난 마을 노인은 오대양 사건에 관해 묻자 정확한 날을 기억하고 있었다. 이 노인은 "사실 이 동네에서 계속 살았지만, 당시에도 그 공장엔 주민들이 다녀본 적이 없었다. 사건 당시에도 뉴스를 보고 알았을 정도로 그곳은 폐쇄적이었다"고 기억을 더듬었다.
이어 "이제는 다 지난일이다. 그런데 세월호 침몰 사고로 오대양 사건이 거론되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이 동네 주민들도 사건 이전에도 그리고 사건 이후에도 누구도 그곳에 가보지 못했다. 이젠 다 지난일"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주민은 오대양 사건 그리고 세월호 참사와 관련된 유 전 회장, 구원파 등을 가만둬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유병언, 구원파 등 세월호 사고를 부른 모든 사람을 그래도 놔두어선 안된다. 싹 다 잡아들여야 한다"며 희생자들이 안타깝다고 전했다.
사건팀 cuba20@tf.co.kr
bdu@tf.co.kr
여러모로 불편하셨죠? 특종에 강한 '더팩트'의 새 도메인(www.tf.co.kr)을 찾아주신 독자 여러분에게 본의 아닌 불편과 혼란을 끼쳐드려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 현장 취재를 생명으로 하는 '더팩트'은 '박지성-김민지 열애'를 비롯한 수많은 단독기사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종이신문의 일방적 도메인(인터넷 주소) 차단을 대비하지 못해 결과적으로 독자 여러분에게 혼란을 끼쳐드린 점을 깊이 사과드립니다. 온라인 미디어의 절대강자 '더팩트'과 종이신문인 '스포츠서울'은 현재 온라인 상의 전용권 등을 놓고 법적 소송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스포츠서울'은 기존의 더팩트 도메인을 기습적으로 차단, 콘텐츠 서비스를 방해했습니다. 이에 따라 '더팩트'은 인터넷 미디어의 특징인 'i'를 강조한 tf.co.kr으로 인터넷 주소를 변경해 차별화된 콘텐츠뿐만 아니라 기존의 만화 웹툰 소설 등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종이신문의 웹 사이트인 '스포츠서울'과 질적으로 다른 '더팩트'의 차별적 콘텐츠를 새 도메인 sportsseouli.com과 검색어 '더팩트'으로 만나보시기 바랍니다.<편집자 주>
<인기기사>
▶[夜한장면] '예체능' 구자명, 음주운전만 안했더라면…
▶[SS다시보기] '닥터이방인' 이종석, 윙크로 의드에 로코 뿌리기
▶[아듀 '밀회'①] 불륜 미화라니? 행복에 대한 물음을 건네다
▶[SS다시보기] '매직아이', '마녀사냥' 여성버전이 왔다
▶[67th 칸 현장통신] '안젤리나 졸리-실베스터 스탤론, 칸에서 볼까?'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 이메일: jebo@tf.co.kr
-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