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민기 건강 악화, 재정난 이유로 폐관
[더팩트ㅣ최수빈 기자] 수많은 예술인에게 꿈을 안겨준 '학전' 대표 김민기가 위암 투병 끝에 별세했다.
22일 공연예술계에 따르면 김민기는 전날 지병인 위암 증세가 악화돼 세상을 떠났다. 빈소는 서울대학교 장례식장 2호실에 마련됐으며 장례는 가족장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1951년 전북 익산에서 태어난 김민기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에 재학하던 중 '도비두'라는 그룹을 결성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다. 그 무렵 초등학교 동창인 가수 양희은을 만나게 되면서 '아침이슬'을 작곡했고 해당곡은 1970년에 발매됐다.
그러나 '아침이슬'이 민주화 시위에서 시민들에 의해 널리 불리자 유신 정권은 이 곡을 금지곡으로 지정하고 김민기를 탄압하기 시작했다. 김민기가 1971년 발매한 데뷔 음반 '김민기 1집'은 출판 직후 압수당했다. '꽃 피우는 아이' '늙은 군인의 노래' '상록수' 등 그의 노래들은 모두 금지곡으로 지정됐다.
김민기는 1990년 뮤지컬 '지하철 1호선' 연출을 담당하며 공연연출가로서의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사비를 끌어모아 1991년 서울 종로구 대학로에 소극장 '학전'을 개관했다. '학전'에서는 연극 뮤지컬 콘서트 등 다양한 공연이 개최돼 수많은 예술인들의 디딤돌이자 버팀목이 됐다.
'학전'은 소극장 뮤지컬 최초로 라이브 밴드를 도입하고 '지하철 1호선' '모스키토' 등 한국 창작 뮤지컬 성장에 한몫했다. '고추장 떡볶이' '슈퍼맨처럼~!' 같은 어린이극도 이곳에서 탄생했다.
'학전'에서는 수많은 스타들이 배출됐다. 故 김광석은 학전이 배출한 최고 스타다. 그는 1991년부터 1995년까지 매년 라이브 콘서트를 열고 관객들과 만났다. 가수 윤도현 나윤선 등도 '학전' 출신이다.
이 외에도 배우 설경구 김윤석 황정민 장현성 조승우 이정은이 '학전'에서 연기 활동을 시작했다. 설경구는 '학전'에서 포스터를 붙이다가 김민기의 제안으로 연기를 시작했고 장현성은 '학전' 오디션을 보고 배우 생활의 첫발을 내디뎠다.
김민기는 후배들이 훌륭한 예술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장소를 마련해주고 월급을 챙겨주며 도움닫기를 할 수 있게 했다. 김민기는 우리 문화예술계에 대한 공을 인정받아 2020년 호암재단이 수여하는 '제30회 호암상 수상자' 예술상을 받았다.
그러나 '학전'은 김민기의 건강 악화, 재정난 등을 이유로 개관 33년 만인 지난 3월 15일 문을 닫았다. 이곳은 '학전'의 정신을 이어받아 최근에 '아르코 꿈밭극장'으로 새롭게 개관했다.
폐관에 앞서 박학기 윤도현 알리 동물원 등이 '학전, 어게인 프로젝트'로 모금을 진행하고 마지막 콘서트를 개최했다.
당시 박학기는 '학전, 어게인 프로젝트' 기자간담회에서 "'학전'은 첫발을 내딛게 해준 꿈의 장소였다. 이곳을 통해 우리는 가수와 배우로 뿌리내리고 성장했다"며 "'학전'에 진 마음의 빚을 갖고 싶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학전, 어게인 프로젝트'는 지난 2월 28일부터 3월 14일까지 진행됐다. 가수와 배우가 함께 꾸미는 무대, 故 김광석 다시 부르기, 김민기 트리뷰트 등 다양한 콘텐츠가 진행됐다. 박학기는 "전석 매진돼도 수익금은 많지 않겠지만 모은 돈은 모두 재정상 어려움에 처한 '학전'의 새출발을 위해 쓰겠다"고 전했다.
이들은 '학전'의 정신과 DNA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목소리로 말했다. '학전, 어게인 프로젝트'로 인해 적자는 모두 해소했지만 결국 33년의 역사를 뒤로하고 문을 닫았다. 이후 '학전'의 이야기를 담은 SBS 시사교양프로그램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가 지난 4월에 방영돼 시청자들과 만난 바 있다.
故 김민기의 발인은 24일 오전 8시, 장지는 천안공원묘원이다.
subin7134@tf.co.kr
[연예부 | ssent@tf.co.kr]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 이메일: jebo@tf.co.kr
-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