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팩트 | 공미나 기자]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위해 과거에 머물러 있는 규제를 개선하고 건설 스타트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현수 건설산업비전포럼 공동대표는21일 오후 서울 강남구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열린 '스마트 건설 스타트업의 규제현황과 개선방안' 세미나에서 "스마트 건설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우리 건설산업의 생존을 위한 유일한 해법"이라며 "디지털 기술 기반의 첨단산업화 없이는 건설산업의 미래를 기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날 주제발표로 나선 정일국 한국스마트건설안전협회 회장은 "스타트업들이 스마트 안전기술을 상용화하려 할 때 현행 제도가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다"며 "기술 적용을 가로막는 낡은 규제를 걷어내고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 회장은 제조업이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입해 혁신한 점을 언급하며 건설산업도 'CPS(사이버 물리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했다. CPS는 물리적 시스템(기계, 생산설비 등)과 정보통신을기술(센서,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등)이 융합된 지능형 시스템을 말한다.
그러나 현재 국내 대형 건설사들은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정 회장의 설명이다. 이에 정 회장은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위해 건설 스타트업 육성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건설 스타트업이 갖춰야 할 조건으로 △건설산업 경험 △정부와 공공기관에 대한 이해 △건설시장 변화 대응력 등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아무리 좋은 기술을 갖고 와도 건설산업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안 된다. 관련 협회에서 활동하면 시장을 빠르게 알 수 있다"고 했다.
조훈희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교수는 공공에서 스마트 건설 기술이 발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 교수는 "기술이 발전하고 환경이 바뀌었는데도 규제는 과거에 머물러 있다"며 이러한 이유에서 건설 산업의 혁신이 쉽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모듈러(조립식)와 OSC(탈건설 현장) 관련해 기업들이 투자를 해야 하지만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기 쉽지 않다"며 "공공 공사로 발주되는 물량 중 일부를 모듈러나 OSC로 보장해주면 길이 쉽게 열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기술은 발전하고 환경은 바뀌었는데 규제는 과거에 머물러있다"며 "모듈러 혹은 OSC에 적합하고 그 특성을 반영한 제도나 정책들이 나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기술 개발에도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고배원 인테그라디앤씨 대표는 "스마트 건설 분야에서 지원하는 기술은 디지털화, BIM(빌딩정보모델링), OSC 등에 치중돼 있다.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은 상대적으로 지원이 덜하다"며 해당 분야에 국가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 이메일: jebo@tf.co.kr
-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