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

검색
경제
지난해 부실기업 4466개사 전년비 2.7%↑…2019년 이후 최대
한경협, 기업부실예측분석 2024 부실기업 진단

경기회복 지연으로 인한 업황 부진과 고금리 등 영향에 국내 기업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지난해 부실기업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새롬 기자
경기회복 지연으로 인한 업황 부진과 고금리 등 영향에 국내 기업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지난해 부실기업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새롬 기자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경기회복 지연으로 인한 업황 부진과 고금리 등 영향에 국내 기업 수익성이 악화하면서 지난해 부실기업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코로나19 직전부터 최근 6년 중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기업부실확률예측 분석을 바탕으로 2024년 부실기업 수를 진단한 결과 전체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7510개 업체 중 11.9%인 4466개 업체가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일 것으로 분석됐다. 2023년 부실기업 수 4350개에 비해 116개(2.7%) 증가했다.

외감기업이 평균적으로 부실해질 확률(부실확률)을 매년 도출한 결과 기업의 부실확률은 2019년 5.7%에서 단계적으로 증가해 2024년 8.2%를 기록했다. 8.2%는 코로나19 직전인 2019년 이후 6개 년도 평균부실확률 중 가장 높은 수치다.

외감기업 부실확률을 높인 주된 업종은 부동산·임대업으로, 해당 산업 부실확률은 24.1%로 분석됐다. 뒤이어 △전기·가스, 증기 및 수도 사업(15.7%)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4.2%) △예술, 스포츠, 여가 관련 서비스업(14.0%) 등 순으로 부실확률이 높았다.

부실확률이 가장 가파르게 상승한 업종은 건설업이다. 부실확률은 2019년 3.3%에서 2024년 6.1%로 최근 5년 사이 2배가량 급증했다. 원인으로 고물가로 인한 건설 수주 부진 지속과 지난해 3분기까지 이어진 고금리,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등이 꼽힌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부실기업이 늘어나면 실물 경제 악화와 금융시장 리스크가 확대돼 경제 전반 불확실성이 급속히 높아진다"라며 "부실 위험을 줄이는 한편 사업 재편을 저해한 상법 개정안을 국회에서 재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bell@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
· 트럼프발 관세·방위비까지…차기 대통령, 시작부터 '난제' 예고
· 오픈프라이머리 무산 위기…혁신당, 독자 노선으로 선회?
· 13일 대선 출사표 던지는 오세훈…출마선언 장소 저울질
· [오늘의 날씨] 비 그치고 차차 맑음…낮 최고 23도 '포근'
· '5조 대어 맡았다' 미래에셋증권, 1분기 IPO 주관 '1위' KB증권 제칠까
회사소개 로그인 PC화면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