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ACT

검색
경제
네이버 최수연, 지난해 보수 19.7억…카카오 정신아 6.1억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 글로벌 투자 기여로 19.4억
카카오 연봉 1위는 홍은택…광고·커머스 성과로 30.9억


최수연 네이버 대표(왼쪽)가 지난해 19억6900만원을 받아 네이버 임원 중 최고 보수를 기록했다. 지난해 3월 취임한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6억1300만원을 받았다. /각사
최수연 네이버 대표(왼쪽)가 지난해 19억6900만원을 받아 네이버 임원 중 최고 보수를 기록했다. 지난해 3월 취임한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6억1300만원을 받았다. /각사

[더팩트ㅣ조소현 기자]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지난해 19억6900만원을 받아 네이버 임원 중 최고 보수를 기록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6억1300만원을 받았으며, 지난해 카카오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은 이는 홍은택 전 대표였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게시된 네이버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최수연 대표는 지난해 급여 7억원, 상여 12억2800만원, 기타 근로소득 4110만원 등 총 19억69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전년(13억4900만원) 대비 45.96% 증가한 금액이다.

전년과 급여는 동일하나 상여가 5억원 늘었다. 네이버는 최 대표의 상여금 산정 기준에 대해 "지난 2023년 성과에 대한 계량지표 및 비계량지표를 기준으로 리더십·보상위원회에서 판단했다"며 "계량지표 관련해 지난 2023년 영업수익 9.67조원, EBITDA 2.13조원을 달성한 점을 고려했다. 비계량지표 관련해 인공지능(AI) 모델 다각화 및 기업간거래(B2B) 비즈니스 방향성 제시, 네이버앱 개편, 클립, 치지직 등 신규 서비스로 이용자 확대 기반 마련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급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국내 인터넷 기업 최초로 연 매출 10조원을 돌파했다. 최 대표는 오는 26일 정기 주주총회를 거쳐 연임이 확정될 예정이다.

같은 기간, 복귀를 앞둔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는 급여 12억4000만원, 상여 5억6000만원, 기타 근로소득 1억3600만원 등 총 19억3700만원을 수령했다.

네이버는 이 GIO의 상여금 산정 기준과 관련해 "이사회로부터 부여받은 글로벌 투자 업무에 주력해 미래 성장 동력 발굴에 기여한 점 등이 고려됐다"고 밝혔다.

네이버의 글로벌 전략 사업을 추진하는 전략사업부문의 수장을 맡게 될 채선주 대외·ESG정책 대표는 급여 10억원, 상여 4억2900만원, 기타 근로소득 750만원 등 총 14억3700만원을 받았다.

지난해 카카오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은 이는 홍은택 전 대표였다. 홍 전 대표는 급여 10억1800만원(고문료 포함), 상여 13억4200만원, 기타 근로소득 1100만원, 퇴직소득 7억1800만원 등 30억8900만원을 가져갔다. /더팩트 DB
지난해 카카오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은 이는 홍은택 전 대표였다. 홍 전 대표는 급여 10억1800만원(고문료 포함), 상여 13억4200만원, 기타 근로소득 1100만원, 퇴직소득 7억1800만원 등 30억8900만원을 가져갔다. /더팩트 DB

DART에 게시된 카카오의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지난해 급여 6억900만원, 기타 근로소득 400만원 등 총 6억1300만원 보수를 받았다. 정 대표는 지난해 3월 취임했다.

지난해 카카오에서 가장 높은 연봉을 받은 이는 홍은택 전 대표였다. 홍 전 대표는 급여 10억1800만원(고문료 포함), 상여 13억4200만원, 기타 근로소득 1100만원, 퇴직소득 7억1800만원 등 30억8900만원을 가져갔다.

카카오는 홍 전 대표의 상여금 산정 기준에 대해 "광고 매출과 직결되는 카카오톡의 오픈채팅탭 일일 이용자 수 1300만명, 친구 1000명 이상 톡채널 30만개 등 성과 지표와 기후 변화 대응, 파트너 상생, 디지털 접근성, 리스크 관리 및 서비스 안정성 관련 ESG 경영 지표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친구탭 비즈보드 CPT 광고 상품 등 도입을 통한 신규 매출원 창출, 오픈채팅탭 분리에 따른 광고 매출 상승, 관계형 커머스로서 가까운 지인 간의 선물하기 매출 성장을 이끌어내는 등 대표이사로서 매출 구조 개선 및 성장에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이진수 전 멜론 사내독립기업(CIC) 대표는 지난해 15억4300만원의 보수를 받아, 홍 전 대표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금액을 기록했다.

최근 CA협의체 공동의장직에서 물러난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연봉은 공개되지 않았다.

두 회사의 직원 보수도 증가했다. 지난해 네이버 직원들의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2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000만원 올랐다. 같은 기간 카카오 직원들의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200만원으로, 전년 대비 100만원 올랐다.

sohyu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
· [비즈토크<상>] 막 오른 미국발 '관세전쟁'…현대차, 가격 인상 선 그은 이유
· [비즈토크<하>] 尹 파면에 하락한 원·달러 환율…'안정화' 나타날까
· [윤석열 파면] 답보상태 경찰 수사 돌파구 확보…윤 추가 혐의 관심
· [TF인터뷰] '폭싹 속았수다' 박해준, 모두의 아빠가 되기까지
· [윤석열 파면] 오세훈 '경선 전 시장직 사퇴' 주목…"홍준표와 달라"
회사소개 로그인 PC화면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