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 대미·대중 협력 정도 상이"
[더팩트ㅣ최의종 기자]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 속 아세안 반도체 산업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한국의 아세안 각국 맞춤형 협력 전략과 리스크 분산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무협)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7일 발간한 '아세안 반도체 산업의 도약: 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 패키징 분야 전통 강자 아세안은 투자 수혜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보고서는 아세안 지역 내 전기·전자산업 경쟁력이 우수하고 해외 투자 유입이 활발한 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 등 3개국에 삼성과 인텔, 글로벌파운드리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 투자가 쇄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중국 기업도 제재 회피 목적으로 투자를 늘린다고 봤다.
실제 반도체는 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 등 3개국 최대 수출 산업이다. 지난 2022년 기준 3개국 반도체 수출은 전 세계의 19.5%를 차지했다. 지난 2014~2022년 중국과 한국 반도체 연평균 수출은 각각 9.9%, 9.3% 증가했으나, 말레이시아는 10.7%, 베트남은 27.3% 늘었다.
3개국은 인적 자원과 지정학적 강점을 바탕으로 반도체 생산 거점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기술 역량 혁신과 법인세 감면으로 해외 투자 유치를 목표로 한다. 말레이시아는 반도체 국가 전략으로 1000억달러를 투자해 첨단 패키징 기술과 인력 양성을 추진한다.
보고서는 아세안 반도체 산업 특성을 고려하면 미국의 대중국 제재 영향도 제한적일 것이라고 봤다. 조립·테스트·패키징 등 '후공정' 위주 구조로 미국 제재 대상과 거리가 멀다는 분석이다. 제재가 강화되더라도, 전 세계 수요는 늘어 아세안 협력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아세안 협력이 대중 의존도 완화와 공급망 다변화, 한국 후공정 기술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도 했다. 미세화 한계로 첨단 패키징 등 후공정 경쟁이 주목받는 상황에서 한국은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상황이다. 아세안이 협력 파트너로 유망한 셈이다.
허슬비 무협 연구원은 "아세안은 반도체 공급망 다각화를 위한 전략적 요충지이자 한국 후공정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 대상"이라며 "아세안 각 나라 대미·대중 협력 정도가 다른 만큼, 미국 신행정부 통상정책에 맞춰 맞춤형 협력 전략과 리스크 분산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bell@tf.co.kr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