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앤스타

좁혀지지 않는 시각차…제주·이스타 M&A 결국 좌초되나

  • 경제 | 2020-07-16 15:00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이 선결 조건을 두고 양사 간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더팩트 DB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이 선결 조건을 두고 양사 간 견해차가 좁혀지지 않으면서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더팩트 DB

제주항공, 이스타 잘못 강조…정부 추가 지원 여부 변수

[더팩트|한예주 기자] 국내 항공사 간 최초 기업결합으로 관심이 쏠렸던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의 인수합병(M&A)가 결국 좌초될 위기에 처했다.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이 선결 조건을 불이행했다며 인수 계약 해제의 명분을 확보했지만, 이스타항공은 계약조건을 모두 완료했다며 딜 클로징을 요구했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계약 파기 수순이라고 입을 모으면서도 정부의 추가 지원 여부가 마지막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16일 제주항공은 "(마감 시한인) 15일 자정까지 이스타홀딩스가 주식매매계약(SPA)의 선행 조건을 완결하지 못해 계약을 해제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제주항공은 "어제(15일) 이스타홀딩스에서 계약 이행과 관련된 공문을 받았다"며 "이스타홀딩스가 보낸 공문에 따르면 제주항공의 계약 선행조건 이행 요청에 대해 사실상 진전된 사항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스타항공이 계약 선행조건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스타항공 측에 잘못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앞서 제주항공은 지난 1일 이스타항공에 15일까지 미지급금 해소 등 선결조건을 이행하지 않을 시 계약을 파기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공문을 보냈다. 이스타항공이 250억 원가량의 체불임금을 포함한 1700억 원대의 미지급금을 갚지 않으면 인수를 포기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였다.

이스타항공은 미지급금 1700억 원 중 3월 이후 발생한 800억∼1000억 원 해소를 위해 리스사와 조업사, 정유사 등에 비용 탕감을 요청했으나 어려움을 겪어 선결 조건을 모두 마무리 짓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제주항공은 정부의 중재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최종 결정을 내리겠다며 딜 클로징 최종 시점은 미뤘다.

제주항공은 "계약 해제 조건이 충족됐음을 밝힌다"면서도 "다만, 정부의 중재노력이 진행 중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계약 해제 최종 결정 및 통보 시점을 정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채형석 애경그룹 부회장과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만나 M&A 성사를 요청하고, 고용노동부가 중재에 나선 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계약이 무산될 시 이스타항공 직원 1600명이 거리로 나올 수 있다는 점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 인수 계약을 파기할 경우 이스타항공이 파산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올 1분기 기준 이스타항공의 자본총계는 -1042억 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법정관리에 돌입한다면 기업 회생이 아닌 기업 청산 가능성이 높다.

업계에서는 사실상 계약 파기 수순을 밟고있다고 지적하면서도 정부의 추가 지원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을 내놨다. 박이삼 이스타항공 조종사노동조합 위원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이스타항공 정리해고 중단 및 해결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남윤호 기자
업계에서는 사실상 계약 파기 수순을 밟고있다고 지적하면서도 정부의 추가 지원이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을 내놨다. 박이삼 이스타항공 조종사노동조합 위원장(왼쪽에서 두 번째)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이스타항공 정리해고 중단 및 해결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남윤호 기자

제주항공의 이 같은 입장에 이스타항공은 곧바로 반박하고 나섰다. SPA상 선행 조건이 모두 완료됐다면서 딜 클로징을 위한 대화를 요구한 것.

이스타항공은 "이스타항공과 이스타홀딩스는 제주항공과 주식매매계약서상의 선행조건은 완료했다"며 "선행조건이 완료된 만큼 속히 계약완료를 위한 대화를 제주항공에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어 "주식매매계약서상 의무가 아님에도 제주항공이 추가로 요청한 미지급금 해소에 대해서 성실히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양사의 입장 발표로 제주항공과 이스타항공 간 SPA에 대한 시각차가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에서는 제주항공이 여지를 남겼지만, 정부의 추가 지원 등이 나오지 않는 이상 계약 파기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앞서 KDB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등이 이스타항공 M&A 타결을 전제로 제주항공에 인수금융으로 1700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지만, 이 금액으로 미지급금 해소와 경영정상화 등을 달성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하지만 정부는 이스타항공이 전향적인 대안을 내놓고 양측 간에 딜 클로징을 위해 이견을 좁히는 노력과 진전이 있어야만 추가로 필요한 부분을 검토해서 지원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이스타항공 창업주인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의혹도 있어 정부의 무조건 지원도 오히려 특혜 시비로 번질 우려가 있어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제주항공이 이스타항공에 M&A 제안을 했던터라 먼저 나서서 계약 파기 선언을 하는 것도 힘들 것"이라면서 "당장 계약을 파기하기에는 후폭풍이 만만치 않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스타항공이 선결 조건을 수행하지 못했다는 이유가 가장 크긴 하지만, M&A 협상 기간이 길어지면서 이스타항공이 적기 매각기간을 놓쳤다는 점에서 비난을 면치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 인수 이후 동반 부실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제주항공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292억 원과 영업손실 657억 원, 당기순손실 1014억 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1분기 기준 현금·현금성 자산은 약 680억 원에 불과하다.

hyj@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