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앤스타

韓 당대표 궐위 가능성에도…與, '2인 지도체제' 논의 동력 잃나

  • 정치 | 2024-06-10 00:00

황우여 띄운 2인 지도체제, 韓 견제 해석에 부정 기류
"현 지도체제 한계 있어..." 지도체제 변경 논의 힘 싣는 목소리도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인 지도체제'를 띄우면서 당내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4일 황 위원장이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당헌당규개정특위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여상규 당헌당규 개정특위 위원장. /남윤호 기자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인 지도체제'를 띄우면서 당내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4일 황 위원장이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열린 당헌당규개정특위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오른쪽은 여상규 당헌당규 개정특위 위원장. /남윤호 기자

[더팩트ㅣ국회=설상미 기자] 7월 말 국민의힘 차기 지도부를 뽑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띄운 '2인 지도체제'에 대한 당내 갑론을박이 계속되고 있다. 2인 지도체체는 당대표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현재의 단일지도체제를 바꿔 지도부의 안정성을 높이고 전당대회를 흥행시키자는 취지에서 비롯됐다. 하지만 당권 물망에 오른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한 견제 카드라는 해석이 나오면서, 또다른 당권주자들로부터 비토 분위기가 확산 중이다. 전당대회 일정을 감안했을 때 기존 단일지도체제 유지 가능성도 점쳐진다.

7일 국민의힘 당헌·당규개정특위는 지도체제에 관한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여상규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며 "개정안을 도출할 수 없으면 개정을 못 하는 것"이라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특위에 따르면 회의에서는 전당대회를 목전에 두고 지도체제를 바꾸는 논의 자체가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현재 국민의힘은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 선거를 치르는 단일지도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황 위원장의 2인 지도체제는 당대표 선거 1위가 대표를 맡고, 2위는 수석 최고위원이 되는 2인 체제를 말한다.

2인 지도체제의 명분은 당 지도부의 안정성이다. 앞서 국민의힘은 2022년 5월 집권여당이 된 후 황 위원장을 비롯해 총 6번(이준석·주호영·정진석·김기현·한동훈)이나 수장이 바뀌었다. 이와 관련해 황 위원장은 지난 5일 "대통령 궐위 시 이를 대체할 부통령을 뽑는 개념"이라며 "그래야 차기 선거들을 차질 없이 준비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당대표 임기(2년)를 매번 채우지 못한 채 비대위 체제가 반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 수석최고위원이 대표직을 승계해 지도부가 연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자는 취지다.

2인 지도체제가 한동훈 전 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한 제도라는 해석이 따라붙으면서 당내 부정적 여론이 지배적이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남윤호 기자
2인 지도체제가 한동훈 전 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한 제도라는 해석이 따라붙으면서 당내 부정적 여론이 지배적이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남윤호 기자

다만 이 같은 2인 지도체제 논의를 두고 당내 부정적 기류가 지배적이다. 유력 당권 주자인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집단지도체제는 '봉숭아학당'의 안 좋은 기억이 있다"며 "우리 당의 미래와 혁신, 통합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유승민 전 의원 역시 "2인 지도체제는 아무 것도 안되는 짬뽕"이라며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비판했다.

무엇보다 한 전 위원장을 견제하기 위한 제도라는 해석이 따라붙으면서 당내 논의 동력이 약해지고 있다. 당권주자들의 복잡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는 만큼 제도를 급하게 손질하는 것은 불필요한 논란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더팩트>와 통화에서 "의도가 어떠했든 변경안을 두고 여러 해석이 나오고 있는 상황인 데다, 전당대회가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지도부 체제를 바꾼다는 건 아무래도 어렵지 않겠느냐"라고 내다봤다.

다만 현 지도체제의 한계가 분명한 만큼 지도체제 변경에 힘을 싣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전 위원장의 당권 도전이 유력한 가운데, 이후에 당권 궐위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어서다. 대표가 대권에 도전하려면 대선(2027년 3월) 1년 6개월 전(2025년 9월)에 조기 사퇴해야 한다. 여당으로서는 당 대표가 임기를 또다시 채우지 못하는 리스크가 남게 되는 셈이다.

한 국민의힘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1인 체제에 분명히 한계가 있는데, 한계를 어느 정도 좀 극복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들을 제시할 필요는 있다"며 "한 전 위원장을 향한 견제로 해석되는 부분보다는 당을 민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로 보면 좋겠다"고 말했다.


snow@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