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앤스타

[서재근의 Biz이코노미] 삼성 총수 이재용 향한 짙은 색안경 벗어야 할 때

  • 오피니언 | 2020-01-16 23:51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2016년 말 국회에서 열린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청문회 당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2016년 말 국회에서 열린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청문회 당시 "(미전실에 대한) 의혹과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면, 조직을 해체하겠다"라고 공언한 바 있다. /더팩트 DB

삼성 준법감시위, 건전한 경영 환경 조성하는 선례 돼야

[더팩트 | 서재근 기자] 지난 2017년 2월 28일 삼성은 그룹 경영의 중추를 맡아 온 미래전략실(이하 미전실) 해체를 공신 선언했다.

지난 1959년 고(故) 이병철 삼성 창업주의 비서실을 근간으로 1998년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체제에서는 구조조정본부를 거쳐 반백년 넘는 세월 동안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 온 핵심 조직의 해체가 현실화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은 2개월밖에 걸리지 않았다.

앞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2016년 말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게이트' 진상규명 청문회 당시 "(미전실에 대한) 의혹과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면, 조직을 해체하겠다"라며 미전실 해체를 공언한 바 있다.

이재용 부회장의 결단을 두고 당시 경제계 안팎의 해석은 두 갈래로 나뉘었다. 한쪽에서는 사정 당국의 수사 칼날이 삼성 수뇌부를 정조준한 데 따른 '보여주기식' 이벤트라는 평가가 나왔지만, 경제계 및 삼성에 정통한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그룹 운영 시스템 자체를 흔들 수 있다는 우려가 훨씬 컸다. 당장 목전에 둔 신사업 발굴과 계열사 간 사업 구조조정, 글로벌 기업과 인수합병(M&A) 및 정기 인사 등 경영의 골조를 만드는 작업이 '올스톱'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왔다.

현재까지 달라진 삼성의 변화를 지켜보면, 당시 이 부회장의 결단이 결코 '면피용'은 아닌듯 싶다. 미전실 해체 이후 삼성에는 이사회를 중심으로 한 책임경영의 뿌리가 자리 잡았고, '삼성 총수'는 단순히 보고를 받는 역할이 아닌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들과 스킨십에 업무 대부분을 할애했다.

삼성의 변화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지난 2018년 무려 무려 11년 동안 이어져 왔던 '반도체 백혈병' 사태에 종지부를 찍었고, 같은 해 발표한 180조 원 규모의 통 큰 투자안도 주요 사업 부문을 중심으로 구체화하고 있다. '비노조 원칙'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총수 구속'이라는 초유의 사태에 직면했을 때에도 '책임 경영'을 전면에 내세운 삼성 경영 기조는 조금도 달라지지 않았다.

특히, 지난해 10월 충남 아산 탕정 사업장에서 열린 '삼성디스플레이 신규투자 및 상생협력 협약식'에서는 이 부회장이 그리는 '삼성 총수 역할'이 가장 분명하게 드러났다. 그는 당시 행사장을 찾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고 젊은이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기업인의 소임을 다해 잘사는 나라를 만드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실제로 삼성이 공을 들이는 시스템 반도체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전환 프로젝트 등은 현 정부가 최우선 실천과제로 제시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맥을 같이 한다.

미전실 해체 이후 3년여 만에 이 부회장은 또 한 번 결단을 내렸다. 기업범죄를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감시 기구인 '준법감시위원회(이하 준법감시위)' 설치를 단행한 것.

김현석 삼성전자 사장과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왼쪽부터)이 지난 13일 오전 수원 '삼성 디지털시티'에서 열린 '삼성전자 준법실천 서약식'에서 서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김현석 삼성전자 사장과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고동진 삼성전자 사장(왼쪽부터)이 지난 13일 오전 수원 '삼성 디지털시티'에서 열린 '삼성전자 준법실천 서약식'에서 서약서에 서명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연초 "잘못된 관행과 사고를 과감히 폐기하자"라는 이 부회장의 당부는 경제계는 물론 해외에서도 전례를 찾기 어려운 자체 감시 기구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으로 내정된 김지형 전 대법관 역시 최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 부회장을 만나 준법감시위의 자율성과 독립성에 대해 확약을 받았고, 준법경영 의지를 확인했다"라며 준법감시위 설치가 이 부회장의 의중과 무관하지 않음을 드러낸 바 있다.

새 기구의 설치 과정을 바라보는 일각의 시선은 미전실 해체때와 묘하게 닮아 있다. 재계 안팎에서는 "진정한 변화 의지가 엿보인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일부 시민단체 등은 파기환송심을 앞두고 양형 감경을 위한 '극약처방'에 지나지 않는다는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고 있다.

삼성의 변화에 대한 해석의 차이까지야 옳고 그름의 문제로 단정할 수 없지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책임경영', '투명경영' 의지가 국내 대기업에서 전례 없는 구체적인 실행방안으로 옮겨졌다는 것이다.

투기 세력을 척결하겠다며 정부가 각종 부동산 정책을 내놓는 것과 마찬가지로 과거의 잘못이나 관행을 바로잡기 위한 변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새로운 감시 기구가 제 기능을 할지는 앞으로 지켜봐야 할 문제다. 그 자체를 비판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말 그대로 ''삼송(삼성이라서 죄송합니다)하라"는 딴죽걸기에 지나지 않는다.

이재용 부회장의 결단이 기업과 독립 감시 기구 간 상호 건전한 보완 협력으로 이어져 경제계에 새로운 문화를 조성하는 것을 넘어 대기업에 대한 일각의 짙은 색안경을 벗길 수 있는 선례가 되길 기대한다.

likehyo85@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