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틸 힘 없다"는 재계 외침에 정부는 귀 기울여야
[더팩트 | 서재근 기자] 삼성,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 SK, LG, 롯데 등 국내 5대 그룹 총수 모두 주말도 반납한 채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 국내외서 바쁜 행보를 이어갔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7일 오후 일본행 비행기에 몸을 싣고 '긴급 출장'을 떠났고, 정의선 현대차그룹 총괄 수석부회장과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같은 날 김상조 청와대 정책실장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간담회를 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이미 앞서 지난 5일 일본으로 떠났다.
그룹 수장별 구체적인 일정에는 차이가 있지만, 일본의 무역 보복에 따른 해법을 찾는 데 그 목적이 있다는 점에서는 조금의 차이도 없다. 굳이 재계 관계자들의 입을 통하지 않더라도, 재계 서열 1위 그룹 총수가 정부 '경제 사령탑'과 회동 일정을 뒤로 하고 서둘러 일본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다는 점만 보더라도 대기업들이 체감하는 위기감이 어떤 수준일지 짐작하게 한다.
경제계 안팎의 '앓는 소리'가 심상치 않다는 판단에서일까. 오는 10일 문재인 대통령이 국내 30대 그룹 총수들과 만나 이번 사태에 대한 대응 방안에 관해 의견을 나눈다고 한다. 제대로 '빨간불'이 켜진 작금의 상황에서 정부와 경제인의 '소통의 장'이 마련된다는 점은 분명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시계를 조금만 거꾸로 돌려보면, 사태 수습의 실마리를 찾을지 모른다는 기대보다 '보여 주기용 이벤트'로 끝나는 것 아닐까 하는 우려가 더 앞선다. 지난해 10월 각 사업 부분을 대표하는 대기업들이 내놓은 그해 3분기 경영 실적은 말 그대로 '어닝 쇼크'였다. 현대차는 국제회계기준(IFRS)이 도입된 지난 2010년 이후 가장 낮은 2889억 원의 영업이익과 더불어 1%대 영업이익률을 기록했고, LG화학은 전년 대비 24% 줄어든 6024억 원을 버는 데 그쳤다.
두 기업의 공통점은 주한미군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촉발한 중국의 무역 보복으로 직격탄을 맞았다는 점이다.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벌이는 기업들의 '외로운 사투'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실제로 LG화학과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국내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들이 이렇다 할 해명도 듣지 못한 채 중국 시장에서 배터리 보조금 지급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지도 올해로 3년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제는 일본까지 가세해 반도체·디스플레이 분야를 넘어 자동차와 전기차 배터리 분야 핵심 소재에 대한 수출 규제를 검토하고 있다는 관측까지 나오면서 이들 업체의 시름은 더욱 깊어지는 분위기다.
'한·중 정부의 외교적 갈등이 기업의 피해로 고스란히 이어졌다'는 쓴소리가 나온 지 몇 해가 지나도록 달라진 점이라고는 우리나라와 '기 싸움'을 벌이고 있는 나라가 이제 중국에서 일본으로 바뀌었다는 것,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주요 수출 국가의 노골적인 무역 보복으로 막대한 피해를 보게 된 기업의 수가 더 늘어났다는 것밖에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듯싶다.
그간 정부 주도 아래 치러진 굵직한 경제 관련 이벤트만 하더라도 삼성, 현대차 SK 등 그룹별 건을 모두 더하면 열 손가락으로 꼽기에도 모자라다. 가랑비에도 옷이 젖는 법이다. 소나기를 수차례 맞고 버티는 기업들의 목소리를 더는 외면해서는 안 된다. 정부가 할 수 있는 일과 기업이 할 수 있는 일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이제라도 정부는 재계와 진정한 '합(合)'을 맞추는 데 집중하고, 더 나아가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 적극적이고 확실한 외교적 대응에 속도를 높여야 한다.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