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A
팬앤스타
IMR

이장우 대전시장 "美 몽고메리 카운티에 '바이오 산업 전초 기지' 마련할 것"

  • 전국 | 2024-06-25 15:57
이장우 대전시장이 미국 현지 시간 24일 오전 마크 엘리치 몽고메리 카운티 시장과 세계경제과학도시연합 협력하겠다는 내용의 선언문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대전시청 공동취재단
이장우 대전시장이 미국 현지 시간 24일 오전 마크 엘리치 몽고메리 카운티 시장과 세계경제과학도시연합 협력하겠다는 내용의 선언문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대전시청 공동취재단

[더팩트ㅣ대전=정예준 기자] 이장우 대전시장이 미국 몽고메리 카운티에 지역 바이오 기업을 위한 전초 기지를 마련하기로 했다.

미국 현지시각으로 24일 오전 이 시장은 마크 엘리치 몽고메리 카운티 시장을 만나 "대전 바이오 기업의 미국 진출을 돕기 위해 몽고메리 카운티에 현지 사무소 설치를 논의해 보자"고 자신의 구상을 제안했다.

앞서 이 시장은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stration)를 둘러 본 직후 경제 사절단과 티 타임에서 "FDA와 바이오 기업이 가까이 있어 성장할 수 있는 구조로 대전과 오송도 같다"며 "바이오 산업 육성은 우리가 가야 할 길이며 최근 기회 발전 특구 지정이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바이오 기업의 미국 진출을 돕기 위해 몽고메리 카운티에 대전 사무소를 두고, 전문가를 채용하는 방법을 검토해 보겠다"며 "대전시 3급 정도를 몽고메리 카운티와 1년가량 교환 근무하는 것도 좋겠다. 공무원 전문성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설명하기도 했다.

경제 사절단으로 동행한 바이오니아 박한오 회장과 ㈜NDD 안세영 회장은 "대전 사무소를 몽고메리 카운티에 두면 좋을 것 같다. 해외 바이어 기업이 미국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미국 메디 케어에 등록해야 한다"며 "여기에 모두 모여 있는 점을 감안해 마케팅 사무소 역할을 대전시가 해줬으면 좋겠다. 기업도 부담하겠다"고 현지 사무소 운영 비용을 시와 분담하겠다고 했다.

몽고메리 카운티는 미국 내 3대 바이오 클러스터 가운데 하나로 FDA 인근 약 36만평 부지에 새로운 캠퍼스를 구상 중이다.

16만평 규모의 FDA와 비교해도 두 배가 넘는 부지에 연구, 연구 개발(R&D), 거주, 상업 시설까지 바이오 클러스터 입주 기업을 위한 모든 것을 한 곳에 집적하겠다는 것이다.

기회 발전 특구로 지정된 원촌 첨단 바이오 메디컬 혁신 지구와 같은 꼴로 몽고메리 카운티는 이 곳에 약 555억 원을 투입해 각종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세워 놓고 있다.

tfcc202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