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 70만여명, 사망 6452명…4차례 유행 거쳐 오미크론 유행 앞둬
[더팩트ㅣ이헌일 기자] 오늘로 코로나19가 국내에 상륙한 지 만 2년이 됐다.
2년 간 4차례의 대유행을 겪으며 70만여 명이 확진됐고, 6400명 이상이 사망했다.
지난해에는 백신 접종완료율이 80%를 넘어섰는데도 델타 변이가 등장해 4차 유행 위기를 겪었고, 최근에는 델타 변이보다 더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변이가 일상을 위협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20년 1월20일 중국 우한에서 입국한 여성이 확진 판정을 받으며 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됐다. 이후 이달 19일까지 2년 간 70만5902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고, 누적 사망자는 6452명까지 늘었다.
지역별로 서울에서 24만4565명이 확진돼 가장 많았고, 경기 21만3160명, 인천 4만1049명 순으로 수도권에서 전체 확진자의 70.7%가 발생했다.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도 서울 2572명, 경기 1571명, 인천 1392명 순이다.
연령대별로는 20대 확진자가 10만7041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10만4058명)와 30대(10만3640명), 50대(10만330명)도 10만 명을 넘겼다. 인구 10만 명당 발생률은 20대가 1608명으로 가장 높았고 10대가 1554명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1차 유행은 2020년 2~3월 찾아왔다. 2월 중순까지는 국내 누적 확진자가 100명도 되지 않는 정도였으나 이 때 대구·경북지역의 신천지 교회와 관련한 대규모 집단감염이 발생하며 확진자가 폭증, 매일 300명대 후반에서 900명대의 확진자가 나왔다. 특히 2월 29일에는 909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3차 유행이 발생하기 전까지 최고치였다.
2차 유행은 2020년 8월 사랑제일교회와 서울 도심 집회 관련 확진자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시작됐다. 수도권 지역 내 종교시설, 집회,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확진자가 증가했고, 특히 고령층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면서 위함에 따라 위중증환자, 사망자도 크게 늘었다.
이어 2020년 11월부터는 3차 유행이 시작돼 지난해 초까지 지속됐다. 2020년 12월13일에는 처음으로 일일 확진자 1000명을 넘어섰고, 25일에는 1240명까지 치솟았다. 대규모 집단감염 중심이었던 이전 유행과는 달리 가족, 직장 등 소규모 모임을 중심으로 감염이 확산되면서 규모도 크고 지속기간도 길었다.
이후 한동안 유행 규모가 크게 줄어들지는 않았으나 네자릿수로 치솟지도 않으면서 소강 상태가 이어졌다. 그러다 지난해 7월 델타 변이 유입과 함께 4차 유행이 찾아왔다. 백신 접종을 완료하고도 감염되는 돌파감염이 속속 발생하며 수 달 간 확진자 1000~3000명 대 규모가 이어졌다.
그 뒤 유행 증가세가 다소 수그러들자 정부는 11월부터 확진자 관리 중심에서 중증·사망 예방 중심 체계로 방역 전략을 바꾸면서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했다. 그러나 이 때부터 확진자가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수준으로 폭증, 12월15일에는 7850명까지 치솟았다. 결국 단계적 일상회복을 멈추고 다시 방역의 고삐를 조이면서 최근 주간 일 평균 확진자는 3000~4000명대 수준까지 감소했다.
특히 4차 유행 때는 국민들의 백신 접종률이 정부의 목표치만큼 높아졌는데도 확산을 막지 못하면서 '백신 무용론' 논란에 불을 지폈다. 당초 정부는 전 국민 접종완료율 70%를 달성하면 집단면역 효과로 유행을 억제할 수 있다고 예상했고, 지난해 10월23일 이 목표를 달성했다.
그러나 델타 변이가 수많은 돌파감염을 유발하면서 기대와 달리 백신을 통해 확진자 규모를 통제하는 데는 사실상 실패했다는 평가다. 이 과정에서 유행 억제를 위해 강화한 방역패스도 도마에 올라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또다른 변이인 오미크론 변이가 확산되면서 다시 한 번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됐다. 1월 2주차 기준으로 국내 오미크론 변이 검출률은 26.7%로, 향후 3주 안에 80~90%까지 올라 델타 변이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된다.
먼저 유행이 시작된 해외 사례를 분석한 결과 결과, 오미크론 변이는 델타 변이에 비해 입원률은 1/3 수준이지만 전파속도는 2~3배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화율이 다소 낮아도 확진자 규모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위중증 환자가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정부는 이런 오미크론 변이의 특성에 맞춰 다시 한 번 대응체계를 정비하고 있다. 일일 확진자 5000명까지는 현재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방역·의료 인프라를 지속 확충하고, 7000명을 넘어서면 감염 통제보다는 중증 예방, 자율·책임 위주 체계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오미크론 변이에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먹는 치료제를 지속 도입하는 가운데 PCR검사는 검사 수요가 급증할 경우 감염취약 고위험군 등 반드시 필요한 집단에 우선순위를 두고 실시한다. 격리기간은 10일에서 7일로 단축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오미크론이라는 새로운 위기가 다가오고 있지만 이 위기도 분명히 함께 슬기롭게 잘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며 "올해는 국민들이 바라는 더 일상에 생활이 될 수 있도록 정부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honey@tf.co.kr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