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2023년 주거실태조사' 결과
[더팩트|이중삼 기자] 첫 내 집 마련까지 소요 기간은 지난해 기준으로 7.7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 집을 보유해야 한다는 인식은 1년 새 2.3%포인트(p) 줄었다.
국토교통부(국토부)는 27일 전국 표본 6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2023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주거실태조사는 주택 정책 수립에 참고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표본조사다.
◆수도권은 8.5년, 광역시는 6.3년 소요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 최초 주택을 마련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은 7.7년이었다. 1년 전(7.4년)보다 기간이 늘었다. 연도별 첫 내 집 마련 소요 기간은 2018년 7.1년, 2019년 6.9년, 2020년·2021년은 각각 7.7년이었다.
자가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은 60.7%로 전년 같은 기간(61.3%) 대비 0.6%p 줄었다. 자가에서 거주하는 가구 비율은 57.4%로 전년(57.5%) 대비 0.1%p 감소했다.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자가가구 PIR)은 전국 6.3배(중위수·세후소득 기준)로 전년과 같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8.5배, 광역시 등이 6.3배, 도지역은 3.7배였다. PIR은 받은 급여를 고스란히 모아 집값을 치렀다는 의미로, 수도권의 경우는 숨만 쉬면서 모아야 내 집 마련에 8.5년이 걸린다는 뜻이다.
주택을 보유해야 한다는 응답 비율은 87.3%로 전년(89.6%) 대비 2.3%p 소폭 줄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 가구주에서 90.5%가 필요하다고 답했지만, 40세 미만 가구주는 79.4%였다.
현재 주택에서 거주한 평균 기간은 8.0년으로 전년 대비 0.1년 늘었다. 지역별로는 도지역이 10.1년으로 가장 길었고, 광역시 등 7.9년, 수도권은 6.6년이었다. 점유형태별로는 자가로 거주하는 가구가 11.1년, 임차가구가 3.4년이었다.
세 들어 사는 가구는 월급의 15.8%를 임대료로 썼다. 수도권(20.3%)이 가장 비중이 컸고, 광역시(15.3%), 도지역(13.0%)이 뒤를 이었다.
1인당 주거면적은 36.0㎡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율은 3.6%로 전년 대비 0.3%p 줄었다.
◆신혼부부 73.9% 아파트 거주…주택구입 자금 대출지원 1순위
신혼부부의 자가점유율(46.4%)은 일반가구(67.4%)에 비해 낮지만, 2022년(43.6%) 대비 2.8% 증가했다. 특히 신혼부부 73.9%는 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 자가가구의 PIR은 5.9배로 1년 전(6.5배)보다 줄었다. 청년의 경우 전년 대비 자가점유율은 13.2%에서 14.6%로 늘었지만, 여전히 임차로 거주하는 가구비율이 81.1%로 높았다.
신혼부부에게 가장 필요한 주거 지원 정책은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50.3%), '전세자금 대출지원'(29.0%), '장기 공공임대주택 공급'(5.7%) 순이었다. 반면 청년가구는 '전세자금 대출지원'(37.9%)을 1순위로 꼽았다.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