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앤스타

미래 성장 트렌트 'ESG경영'…올해 10대 건설사 성적은?

  • 경제 | 2024-10-31 10:28

한국ESG기준원, '2024년 ESG평가 등급' 발표
10대 건설사 ESG통합등급 '우수'
분야별 전년 대비 하락한 건설사도


한국ESG기준원은 최근 '2024년 ESG평가·등급' 결과를 발표했다. 상장사 기준 국내 10대 건설사들의 ESG평가 등급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한국ESG기준원은 최근 '2024년 ESG평가·등급' 결과를 발표했다. 상장사 기준 국내 10대 건설사들의 ESG평가 등급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더팩트 DB

[더팩트|이중삼 기자] 국내 10대 건설사(시공능력평가·상장사 기준)들의 올해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성적표가 공개됐다. 모든 건설사들이 전년 대비 우수한 성적을 유지·진보한 가운데, 일부 분야에서 등급 하향 조정을 받은 기업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적인 안전사고 발생이 주된 요인이다. ESG경영 이행은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재무적 성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등급이 내려가면 내려갈수록 지속가능한 경영에 적신호가 켜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국ESG기준원의 '2024년 ESG평가·등급 공표'에 따르면 상장사 기준 국내 10대 건설사(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DL이앤씨·GS건설·HDC현대산업개발)의 ESG평가 등급은 A+(매우우수)·A(우수)였다. A+등급은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충실히 갖추고 있고, 비재무적 리스크로 인한 주주가치 훼손의 여지가 상당히 낮은 수준을 나타낸다. A등급은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적절히 갖추고 있고, 비재무적 리스크로 인한 주주가치 훼손의 여지가 적음을 의미한다. ESG평가 등급은 S부터 D까지 7단계로 나뉘는데, D등급(매우취약)의 경우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영이 사실상 어렵다고 보고 있다.

ESG 등급은 자본시장 참여자들이 상장회사의 ESG와 관련한 발생 가능 위험 수준을 보다 직관·파악하게 하고 투자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시공능력평가 1위 삼성물산은 ESG종합등급에서 A등급을 받았다. 환경 부문은 A등급, 사회 부문은 A+등급, 지배구조 부문은 A등급으로 평가됐다. 다만 패션·상사 부문이 더해진 결과다. 전년(종합등급 A+)과 비교하면 등급이 한 계단 내려갔는데, 환경·지배구조가 각각 A+에서 A로 하락했기 때문이다.

◆ "건설업 ESG경영 선택 아닌 필수"

한국ESG기준원에 따르면 ESG평가 등급은 S부터 D까지 7단계로 나뉜다. D등급을 받은 기업은 사실상 지속가능한 경영이 어렵다는 분석이다. /한국ESG기준원
한국ESG기준원에 따르면 ESG평가 등급은 S부터 D까지 7단계로 나뉜다. D등급을 받은 기업은 사실상 지속가능한 경영이 어렵다는 분석이다. /한국ESG기준원

시평 2위 현대건설도 종합등급 A를 획득했다. 분야별로 보면 환경 A등급, 사회 A등급, 지배구조 B+등급을 받았다. 전년과 같이 종합 A등급을 유지했지만, 근로자 사망사고 등 지속적인 안전사고 발생을 사유로 사회 부문이 전년 A+에서 올해 A로 한 계단 떨어졌다. 대우건설(시평 3위)도 올해 종합등급 A를 받았지만, 현대건설과 같은 이유로 사회 부문이 A+에서 B+로 두 계단 내려갔다. 대우건설은 환경 부문에서 A, 지배구조 부문에서 A등급을 받았다.

DL이앤씨(5위)·GS건설(6위)도 전년과 동일한 A로 평가됐다. 특히 GS건설은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여파로 전년도 사회 부문에서 B+를 받았지만, 올해는 A+를 받으며 두 계단 올랐다. 올해 10대 건설사 가운데, HDC현대산업개발은 가장 진보한 평가등급을 받았다. 전년 종합등급이 B+이었지만 올해 A로 올라섰고, 환경(B+→A)·사회(A→A+)·지배구조(B→A) 모두 등급이 상향됐다.

한국ESG기준원 관계자는 "ESG 경영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 증대로 기업피드백에 참여하는 회사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며 "2024년 평가의 경우 평가 대상기업의 57.6%(1066개사 중 535개사)가 피드백에 참여했다"고 설명했다.

김영덕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건설업에서 ESG경영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ESG는 최근 지속가능성 가치에 초점을 맞춘 이해관계자 중심 경영 등 실무·통합적 의미로 확장됐다. 건설업도 법·제도적 환경변화에 맞춰 부문별로 실질적인 대응전략·실천과제를 발굴·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j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