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미국 금리 인하 이후 단행 예상…이르면 7월"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가계부채가 '역대급'으로 확대되면서 '이자 내기' 급급한 차주들의 관심은 '금리 인하' 시기에 집중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한국 금리 인하는 7월 이후에야 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월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695조3140억원으로 집계됐다. 한 달 전인 지난해 12월 말(692조4090억원)보다 2조9050억원 증가한 것이다. 특히 가계대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이 한 달 새 529조8920억원에서 534조3250억원으로 4조4330억원 증가했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차주들의 이자 부담은 커지고 있다.
실제 이자 부담으로 인해 빚을 갚지 못하는 차주들은 늘어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은 0.46%로 전월(0.43%) 대비 0.03%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가계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02%포인트 오른 0.39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차주들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 시기만 애타게 바라보고 있다.
다만 그동안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발언을 고려하면 당분간 금리를 낮출 가능성은 작다. 그는 직전 금통위 기자회견에서 "6개월 이상은 금리 인하가 쉽지 않다"고 밝힌 바 있다.
시장에서는 한은의 금리 인하 시점이 빨라야 7월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전문가들 역시 한은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에 앞서 금리를 내리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하 시점 이후가 될 것이란 분석이다. 섣불리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낮출 경우 한미 금리 역전 차가 사상 최대인 2.25%포인트 이상 벌어지며 자본 이탈 우려가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은 사실상 금리 인상 종료를 선언했지만, 3월 금리 인하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앞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5.25~5.5%로 결정했다. 지난해 9월부터 4회 연속으로 동결을 결정한 것이다.
특히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고 경로는 불확실하다. 3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낮다"며 조기금리 인하 전망에 찬물을 끼얹었다.
연준이 기준금리 동결을 결정하면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는 연준이 3월 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은 35%대까지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 70%를 웃돈 것과 상반된 결과다.
이에 따라 시장의 기대는 5월 FOMC 회의로 옮겨가는 추세다. 페드워치는 오는 5월 있을 회의에서 금리 인하 가능성을 95%로 봤다.
한은 역시 물가가 목표 수준(2%)까지 안착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긴축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연말 3%대 초반까지 내려왔지만 안심하기에는 이른 상황이다.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국제유가 불확실성, 하반기 공공요금 인상이라는 물가 상방 압력 변수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3월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되며 2분기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우리나라는 미국에 후행해 빠르면 7~8월 정도에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봤다.
안예하 키움증권 선임연구원도 "내수 부진과 부동산 PF 등에 따른 유동성 우려를 고려해 한은이 하반기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며 "미국 연준의 6월 인하를 전제로 한은의 7월 인하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