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 하드웨어 종속 해재헤 '다음 버전 차량'도 제어 가능
차량용 OS 구현…경쟁사 지지부진 속 '인력 확충' 계획
[더팩트 | 라스베이거스=김태환 기자] 송창현 현대차·기아 SDV본부장 겸 포티투닷 대표가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와 관련해 하드웨어로부터 종속을 벗어난 소프트웨어(SW)를 활용해 차량에 운영체제(OS)를 탑재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밝혔다. 한 번 SDV를 개발 해놓으면 이후 만드는 차량도 SW 기반으로 제작과 제어가 가능해, 마치 스마트폰을 업데이트 하듯, 차량의 성능도 지속 개량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송창현 본부장은 8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국제전자제품박람회 2024(CES 2024)' 미디어데이 Q&A 세션을 가지고 현대자동차그룹의 SDV와 SW 전환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송창현 본부장은 "SDV는 SW를 개발하는 방식을 자동차 개발 방식에 적용 한다고 보시면 된다"고 밝혔다.
일반적으로 SW를 개발할 때는 하드웨어를 추상화시킨 구조에서 SW만 개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자동차의 경우 차를 먼저 만들고, 대부분 하드웨어 중심으로 소프트웨어들이 하드웨어에 종속되는 방식으로 SW가 개발돼 왔다.
이렇게 되면 해당 하드웨어를 통합 관리(인티그레이션)하려 할때, 새로 개발된 SW의 경우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없게 된다.
송 본부장은 "SW로 전환한다는 전략의 핵심은 하드웨어 개발과 SW 개발을 따로 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하드웨어 개발은 하드웨어 개발대로 가고, 하드웨어와 SW 중간에 하나의 층(레이어)을 두면서 표준화된 아키텍처(설계)를 두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렇게 되면 SW를 개발할 때 추상화된 층(레이어)과 표준화된 설계(아키텍처)만 보고 개발을 하게 돼, 하드웨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면서 "한 번 개발을 해놓으면 하드웨어가 바뀌더라도 SW가 돌아갈 수 있게 구조화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예를들어 과게에는 휴대폰의 하드웨어를 개발하고 거기에 맞는 SW를 '종속'시켜 개발했기에, 새 휴대폰을 만들 때 기존 SW를 이용할 수 없었다. 반면 최근 스마트폰의 경우 안드로이드 OS와 같이 가상의 하드웨어를 상정하고 SW를 개발하게 되면서, 다른 하드웨어를 만나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현대차는 폭스바겐, 토요타와 같은 경쟁사들과 비교해도 SDV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송 사장은 "GM과 포드는 SDV 관련해 내부적으로 발존하고 있다는 얘기가 들리지만, 폭스바겐 같은 경우에는 기술 문제보다는 사내 정치와 조직 구조 때문에 어려워하고 있다"면서 "토요타의 경우 SDV를 내재화하기보다는, 지금까지 쌓아온 공급망을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해 (현대차가 추구하는 SDV와는) 결이 다르다"고 지적했다.
송 본부장은 IT 기술자들을 최대한 많이 확충해 SDV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그는 "테슬라의 경우 애플 출신의 기술자들이 건너와 IT기업이 하는 방식 그대로 개발을 하면서 SDV 부문 선두를 달리게 됐다"면서 "현대차 입장에서는 지금 막 시작하는 것이기에 좋은 테크 엔지니어들을 채용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kimthin@tf.co.kr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