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앤스타

7년간 금융권 횡령액 1800억 원 넘었다…환수율은 12.4%뿐

  • 경제 | 2023-08-07 08:04

업권별 횡령 임직원 규모 은행이 가장 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금융사에서 횡령한 임직원 수는 202명으로 집계됐다. /더팩트 DB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금융사에서 횡령한 임직원 수는 202명으로 집계됐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정소양 기자] 지난 7년간 금융권에서 발생한 횡령액 1816억 원에 이르지만, 회수율은 고작 10%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올해 7월까지 금융사에서 횡령한 임직원 수는 202명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들이 횡령한 금액은 1816억590만 원에 이른다.

횡령 규모는 2017년 89억8870만 원(45명), 2018년 56억6780만 원(37명), 2019년 84억5870만 원(27명), 2020년 20억8290만 원(31명), 2021년 156억4860만 원(20명), 2022년 826억8200만 원(30명), 올해 580억7630만 원(12명)이다.

지난해와 올해 횡령 규모가 급격히 늘어났는데, 이는 지난해 우리은행 직원의 700억 원대 횡령, 최근 BNK경남은행의 500억 원대 횡령 사고 영향이다.

업권별 횡령 임직원 규모는 은행(113명)이 가장 많았다. 이어 보험(59명), 증권(15명), 저축은행(11명), 카드(4명) 등이었다.

횡령 규모도 은행이 가장 컸다. 은행에서 나온 횡령 금액은 1509억8010만 원으로, 전체 횡령 금액 중 83.1%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저축은행(169억2180만 원)이 9.3%, 증권(86억9600만 원)이 4.8%, 보험(47억4200만 원) 2.6%, 카드(2억6600만 원) 0.2% 순이었다.

최근 금융권 횡령 사고가 급증하고 있는 가운데 환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년간 횡령액 중 환수가 이뤄진 금액은 224억6720만 원이다. 이는 12.4% 환수율에 불과했다.

금융당국은 임직원의 준법 의식 취약과 은행 내부통제가 실효성 있게 작동하지 못한 점을 금융권 횡령 사고 원인으로 꼽았지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의 관리 감독 부실에 대한 지적의 목소리도 나온다.

강민국 의원은 "지난 1년간 금융당국이 연달아 금융권 내부통제 제도 개선안을 발표했음에도 오히려 횡령 사고가 더 증가했다는 것은 해당 대책들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금융권 횡령을 내부통제 문제로만 인식해 셀프 준법 경영 문화 정착에만 역량을 집중할 경우 횡령은 만연할 수밖에 없다. 철저한 관리 감독과 최고경영자(CEO)까지 책임을 묻는 강력한 제도 개선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jsy@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