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앤스타

[TF초점] GS그룹, 플라즈마 이어 바이오부탄올 빈손 철수

  • 경제 | 2019-08-22 05:00
GS그룹도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과감하게 투자해 왔지만 플라즈마, 바이오부탄올 등의 사업에서 빛을 보지 못했다. /더팩트 DB
GS그룹도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과감하게 투자해 왔지만 플라즈마, 바이오부탄올 등의 사업에서 빛을 보지 못했다. /더팩트 DB

GS에너지의 플라즈마 이어 GS칼텍스 바이오부탄올 사업도 중단

[더팩트ㅣ장병문 기자] 2000년대에 에너지 업계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바람이 불었다. 기존 석유와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 등의 에너지가 아닌 태양열,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 에너지, 폐기물 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분야가 에너지업계의 미래성장동력을 꼽혔다. 당시 국내 대표 에너지 기업인 GS그룹도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과감한 투자를 결정하고 발 빠르게 사업을 진행했다. 하지만 10여 년이 지난 지금 GS그룹의 친환경 에너지 사업의 성과는 초라한 실정이다.

GS칼텍스는 최근 차세대 신성장동력으로 내세웠던 바이오부탄올이 사업성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바이오부탄올은 폐목재와 폐농작물을 원재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에너지다. 10년 가까운 시간과 수백억 원의 비용을 투자했지만 사업성을 찾지 못했다.

GS칼텍스는 지난 2007년 바이오부탄올 연구개발에 들어가 2014년 정부로부터 신기술 인증인 NET(New Excellent Technology)를 받기도 했다. NET 인증을 받으면 기술에 대해 자금 대출 및 세제 혜택, 판로 확보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GS칼텍스는 2016년 500억 원을 들여 여수 산업단지에 바이오부탄올 시험공장을 세웠다. 이 공장은 2017년 말 완공해 지난해부터 생산에 들어갔다. GS칼텍스는 폐목재 300만 톤으로 연간 3억 리터의 바이오부탄올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그동안 시범 생산한 결과 바이오부탄올의 사업성이 확보되지 않았다. GS칼텍스 관계자는 "바이오부탄올 사업을 중단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 추가 투자는 진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GS그룹은 이보다 앞선 지난 2015년 수백억 원 쏟아부은 플라즈마 사업을 접은 바 있다.

플라즈마는 초고온에서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 상태를 말한다. 고온의 플라즈마를 폐기물에 노출하면 합성가스가 발생한다. 플라즈마 사업은 쓸모없는 폐기물을 처리하고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친환경 에너지 사업이다.

GS칼텍스는 2016년 여수 산업단지에 바이오부탄올 시험공장을 짓고 생산에 들어갔지만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더팩트 DB
GS칼텍스는 2016년 여수 산업단지에 바이오부탄올 시험공장을 짓고 생산에 들어갔지만 사업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더팩트 DB

GS그룹은 지난 2010년 애드플라텍을 인수해 GS플라텍으로 사명을 바꾸고 본격적으로 플라즈마 사업에 돌입했다. GS에너지는 GS플라텍을 자회사로 편입했고, 플라즈마 사업을 키우기 위해 GSE WTE를 설립했다. 당시 허용수 GS EPS(현 GS에너지 사장) 대표가 GS플라텍 대표를 맡아 사업을 진두지휘했다.

GS그룹은 해마다 GS플라텍에 자금을 쏟아부었지만 상용화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GS플라텍의 경영은 급속도로 악화됐고 2014년 말에는 581억 원의 결손금을 기록했다. 자기자본은 마이너스 386억 원으로 완전자본잠식에 빠졌다. GS에너지는 GS플라텍에 빌려준 484억 원을 상환받지 못했고 440억 원을 출자전환한 뒤 손실처리 했다. 이 시기 자본금 330억 원의 GSE WTE 결손금은 153억 원에 달했다.

GS에너지는 "과거 플라즈마 사업의 가능성을 보고 투자했지만 사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해 GS플라텍 해산과 GSE WTE의 해산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GS그룹이 10여년 전 미래성장동력으로 꼽았던 친환경 에너지 사업은 헛발질로 끝난 셈이다.

한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골칫덩어리인 폐기물을 에너지로 바꿀 수 있다면 황금알을 낳은 거위가 되겠지만, 이를 상용화란 쉽지가 않다"며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비용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 연구개발에 몰두해야 하는데 대기업도 부담될 것"이라고 말했다.

jangbm@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