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최종현 SK회장 20주기 오는 24일 워커힐서 고인 뜻 기린다
[더팩트 | 서재근 기자] "미래는 도전하는 사람이 만들어 가는 것이다."(고 최종현 SK 선대회장)
고(故) 최종현 SK그룹 선대회장이 오는 26일로 타계 20주기를 맞는다.
2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최종현 회장의 이름 석 자 앞에는 '무자원 산유국'의 신화, 세계 최초 CDMA 상용화 등의 업적과 더불어 '10년을 내다본 기업인'이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특히, 우리나라를 이끌 인재를 발굴하고 육성하겠다는 '인재양성' 정신과 지난 1997년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 당시 폐암 말기 진단을 받고 병마와 싸울 당시 산소호흡기를 꽂은 채 경제 살리기를 호소했던 그의 일화는 재계에서도 유명하다.
◆ 준비한 기업에는 언제든 기회가 온다"
최종현 회장은 자본, 기술, 인재가 없었던 지난 1973년 당시 선경(현 SK)을 글로벌 에너지·화학 회사로 키우겠다는 원대한 목표를 천명했다. 섬유회사에 불과했던 그룹 수장이 원유정제는 물론 석유화학, 필름, 원사, 섬유 등에 이르는 수직계열화를 선언했을 때만 하더라도 재계 안팎에서는 '불가능한 꿈'으로 치부했다. 그러나 최종현 회장은 장기적 안목으로 서아시아 지역 왕실과 석유 네트워크 구축 등 치밀한 준비 끝에 1980년 대한석유공사(유공)를 인수했다.
이후 1983년부터 해외유전 개발에 속도를 낸 최종현 회장은 이듬해인 1984년 북예멘 유전개발에 성공한 데 이어 1991년 울산에 합성섬유 원료인 파라자일렌(PX) 제조시설을 준공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수직계열화를 완성했다.
최종현 회장은 미래설계가 그룹 총수의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동향 분석을 위해 1984년 미국에 미주경영실을 세운 이유이기도 하다. 정보통신 분야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삼은 최종현 회장은 미국 ICT 기업들에 투자하고 현지법인을 설립해 이동통신사업을 준비, 1992년 제2이동통신사업자에 선정됐지만 특혜시비가 일자 사업권을 자진 반납했다.
이후 "준비한 기업에는 언제든 기회가 온다"고 내부를 설득한 최종현 회장은 2년 뒤 문민정부 시절인 1994년 한국이동통신 민영화에 참여해 이동통신사업에 진출했다. 당시 주당 8만 원 대를 기록했던 주식을 주당 33만5000원에 인수하기로 하자 주변에서 재고를 건의했지만 최종현 회장은 "이렇게 해야 나중에 특혜시비에 휘말리지 않을 수 있다. 앞으로 회사 가치를 더 키워가면 된다"고 설득했다.
◆ '인재보국' 일등국가를 꿈꾼 리더
최종현 회장은 그룹의 성장조차 불투명했던 지난 1970년대부터 인재양성에 남다를 애정을 보였다.
우선 지난 1972년 "사람을 키우듯 나무를 키우고, 나무를 키우듯 사람을 키운다"는 경영철학을 토대로 조림사업을 통해 장학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서해개발주식회사'(현 SK임업)를 설립했다.
당시 최종현 회장은 3만ha의 임야에 수익성 좋은 나무를 심어 1년에 1000ha씩 벌목과 식목을 반복해 한국고등교육재단 재원 조달자금으로 활용하겠다는 국내 재계에서 전례 없는 '큰 그림'을 그리며 인재 육성에 씨앗을 뿌렸다. (2018년 7월 19일 자 <[TF기획-이색 계열사①] SK그룹의 SK임업, '최태원 경영'의 '뿌리' > 기사 내용 참조)
이후 최종현 회장은 '일등국가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세계적 수준의 학자를 많이 배출해야 한다'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반영, 2년 후인 1974년 사재를 들여 한국고등교육재단을 설립하고, 당시 서울 집 한 채 값보다 비싼 해외 유학비용은 물론 장학생들에게 생활비까지 지원하는 파격 행보를 이어갔다.
지금까지 재단에서 지원한 장학생 수는 3700여 명에 달하고, 740명의 해외 명문대학교 박사를 배출했다. 이 가운데 80% 이상은 현재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동양계 최초 예일대 학장인 천명우(심리학과), 한국인 최초 하버드대 종신교수 박홍근(화학과) 등 세계적 석학이 된 이들은 학술교류와 민간외교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 "내가 죽으면 반드시 화장하고, 화장시설을 만들어 사회에 기부하라"
최종현 회장은 지난 1998년 8월 26일 69세의 일기로 생을 마쳤다. 묘지 난립으로 좁은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데 안타까움을 느꼈던 최종현 회장은 사회지도층 인사 가운데 처음으로 화장을 택하면서 장례문화를 선도했다.
"내가 죽으면 반드시 화장(火葬)하고, 훌륭한 화장시설을 지어 사회에 기부하라." 폐암으로 갑작스럽게 타계하기 직전 그가 남겼던 유언은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그가 타계한 지 한 달 만에 '한국 장묘문화개혁 범국민협의회'가 결성돼 '화장 유언 남기기 운동'이 전개될 정도로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최종현 회장 장례가 유언대로 화장으로 치러지자 1998년 20%에 불과했던 화장률은 이듬해 30%를 넘는 등 매년 급증했고, 현재는 82%에 달할 만큼 대중화됐다.
SK그룹은 최종현 회장의 유언에 따라 지난 2010년 1월 500억 원을 들여 충남 연기군 세종시 은하수공원에 장례시설을 준공해 세종시에 기부했다.
◆ '아버지' 최종현 회장 경영철학, '아들' 최태원 회장에게도 고스란히 이어져
최종현 회장이 남긴 경영 DNA는 장남 최태원 SK그룹 회장에게도 고스란히 전해졌다. 최종현 회장이 항상 10년을 내다보고 준비한 끝에 SK를 직물회사에서 석유화학과 정보통신을 아우르는 그룹으로 성장시켰다면, 최태원 회장은 지난 2011년 하이닉스 인수 등을 통해 반도체와 바이오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최태원 회장은 하이닉스 인수 직후 "하이닉스가 SK 식구가 된 것은 SK의 반도체 사업에 대한 오랜 꿈을 실현하는 의미가 있다"며 30년 전 최종현 회장의 못다 이룬 꿈을 언급했다. 최종현 회장이 1978년 미래 산업의 중심이 반도체가 될 것임을 예견하고 선경반도체를 설립했으나 전 세계를 강타한 2차 오일쇼크로 꿈을 접어야 했던 과거를 회상한 것이다.
특히, '기업의 부(富)를 사회에 환원해야 한다'는 선대회장의 경영 철학은 최태원 회장이 그룹 경영의 최우선 실천 과제로 강조하는 '사회적 가치'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 최태원 회장은 지난 2월 연세대학교 백주년기념관에서 열린 '2018 글로벌 지속가능포럼(GEEF)'은 물론 중국 보아오 포럼(3월)과 '사회성과인센티브 어워드'(4월), 베이징 포럼(5월), '2018 SK 글로벌 포럼'(6월), '2018 확대경영회의'(6월) 등 올해 국내외 주요 행사에 "영리를 추구하는 기존 경제적 가치에서 벗어나 경제적 가치 위에 새로운 사회적 가치 창출로 환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SK그룹은 최종현 회장 20주기를 맞아 최종현 회장의 업적과 경영철학을 기리기 위해 오는 14일부터 고인의 업적과 그룹의 성장사를 살펴볼 수 있는 20주기 사진전을 주요 사업장에서 개최하고, 24일에는 워커힐호텔 비스타홀에서 경영철학을 재조명하는 행사를 가질 예정이다. 아울러 그룹 구성원의 기부금을 모아 숲 조성 사회적기업인 '트리플래닛'에 전달해 약 16만5290㎡(약 5만 평) 규모의 숲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항수 SK그룹 홍보팀장(전무)은 "고 최종현 회장의 혜안과 통찰 그리고 실천력은 후대 기업인이 본받아야 할 가치로 인정받고 있다"며 "SK그룹은 앞으로도 선대 회장의 경영철학을 올곧게 추구해 사회와 행복을 나누는, 존경받는 일등기업으로 지속 성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