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앤스타

[TF현장] '대진침대 사태' 뿔난 소비자들 "침대 아닌 관짝…분노 치밀어"

  • 경제 | 2018-05-21 14:09

침대 매트리스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되는 '대진침대 사태'와 관련해 소비자단체들이 조속한 피해 보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11개 소비자단체는 21일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관 앞에서 집회를 개최했다. 피켓에는 '말뿐인 리콜' 등의 문구가 쓰여있다. /고은결 기자
침대 매트리스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되는 '대진침대 사태'와 관련해 소비자단체들이 조속한 피해 보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등 11개 소비자단체는 21일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관 앞에서 집회를 개최했다. 피켓에는 '말뿐인 리콜' 등의 문구가 쓰여있다. /고은결 기자

소비자단체, 21일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대진침대 피해 보상 촉구' 집회

[더팩트|광화문=고은결 기자] "미세먼지 때문에 창문을 안 열었는데 정작 집 안에 발암 물질을 두고 있었다", "침대가 아닌 관짝인 격", "정작 문제의 업체는 전화도 받지 않고 있다" 등등.

대진침대가 판매한 일부 침대에서 1급 발암물질 '라돈'이 다량 검출된 것으로 드러나며 소비자들의 분노가 들불 번지듯 확산되고 있다. 제조사인 대진침대의 제품 수거와 교환이 지지부진한 것은 물론, 많은 소비자들은 해당 업체와의 연락마저 쉽지 않다고 성토하고 나섰다. 이에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대진침대 사태의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 규제 당국이 적극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와 한국YMCA전국연맹 등 11개 회원단체는 21일 오전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관 앞에서 집회를 열고 '대진침대 사태'에 대한 소비자 피해 보상 대책을 촉구했다. 이날 발표에 나선 김순복 한국여성소비자연합 사무처장은 "그동안 1급 발암물질을 끼고 살았다. 미세먼지가 심해 창문을 못 열었는데, 실내에서는 라돈이 소비자 건강을 위협한 것"이라고 말했다.

김순복 사무처장은 이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대진침대에 비닐 커버를 씌워서 집안에 보관하라고 한다"면서 "침대 크기가 2m인데 그에 맞는 비닐이 어딨느냐. 게다가 복도에 내놓으면 이웃 주민에 피해를 준다고 민원이 들어온다"고 꼬집었다. 앞서 원안위는 대진침대 7종에 대한 리콜 및 회수조치가 완료되기 전까지 제품 사용을 중단하고 별도의 장소나 비닐 커버 등을 씌워서 보관하라고 권고했다.

이들 소비자단체는 이날 ▲라돈이 검출된 대진침대 소비자에 대한 피폭 검사 방안 및 건강 상의 위해 평가 실시 ▲대진침대 외 방사능 발생 우려가 큰 생활용품에 대한 전면 조사 및 대응책 마련 ▲회수된 침대의 폐기 대책 마련 등을 촉구했다.

대진침대의 일부 제품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된 가운데 지지부진한 제품 회수 조치로 소비자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와 한국YMCA전국연맹 등 11개 회원단체는 21일 오전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관 앞에서 집회를 진행했다. /고은결 기자
대진침대의 일부 제품에서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검출된 가운데 지지부진한 제품 회수 조치로 소비자들의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이 가운데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와 한국YMCA전국연맹 등 11개 회원단체는 21일 오전 서울 광화문 원자력안전위원회관 앞에서 집회를 진행했다. /고은결 기자

이날 집회에서 만난 한 시민은 "나 또한 대진침대를 사용해온 피해자다. 현재 업체는 전화도 안 받는다"고 말했다. 이어 "환불을 원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해당 업체가 응당한 처벌을 받길 바랄 뿐"이라며 울분을 토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따르면 1372 상담센터에는 이달 4일 이후 소비자 상담이 1200건을 넘어섰다. 한국소비자원 홈페이지에서는 대진침대 제품을 사용 중인 소비자는 모델명 등을 확인하고 업체 측에 연락해 회수 조치를 받으라고 안내 중이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대진침대와의 연결조차 쉽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피해자들은 대진침대 측과 연락이 쉽게 잘 닿지 않아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포털사이트에 게재된 대진침대의 본사 연락처로 전화를 걸어도 정상적인 연결음이 아니라 '고객이 전화를 받지 않는다'는 안내음만 반복되고 있다.

이들 소비자단체는 정부 또한 대진침대 사태로 인한 소비자들의 피해에 손을 놓고 있다고 비판했다. 정부는 2012년부터 생활제품의 방사능 검출량을 규제하는 '생활주변 방사선안전관리법'을 시행 중인데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이 법에 의하면 원안위는 천연방사성핵종이 포함된 원료물질 또는 공정부산물의 종류, 수량 등과 유통 현황을 보고 받고 관리해야 한다.

원안위의 조사 결과 번복이 소비자들의 불신을 키웠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대진침대는 올해 초에 이미 문제를 파악해 생산을 중단했다. 그러나 원안위는 지난 10일 1차 조사 결과에서 호흡으로 인한 내부 피폭선량이 0.5밀리시버트에 불과하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닷새 만인 지난 15일 대진침대가 판매한 7개 모델이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의 가공제품 안전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돼 수거 명령 등 행정조치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대진침대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가운데 집단소송에 나선 소비자들도 급증하고 있다. 21일 현재 '대진침대 라돈 사건 집단 소송' 인터넷 카페에는 1만3000여 명이 가입해 있다. 이 중 1900명이 넘는 이들이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힌 상태다. 이미 지난 19일 변호사협회 회관에서 소송 위임장을 제출한 소비자들과 소송 담당 변호사가 오프라인 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ke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 ※ 이 기사는 ZUM에 제공되고 있습니다.
    댓글 1개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