닻 올린 권영세號 비대위…'구색 갖추기' 비판 벗어나려면


'수도권형 비대위' 노력했지만 여전히 친윤 대거 분포
"소장파 주류 돼야 친윤도로당 비판 피할 수 있어"

탄핵 정국 속 당의 위기를 수습할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30일 공식 출범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와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2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의원총회에 참석해 인사를 나누고 있는 모습. /박헌우 기자

[더팩트ㅣ국회=김수민 기자] 탄핵 정국 속 당의 위기를 수습할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가 30일 공식 출범했다. 이미 친윤(친윤석열)계 투톱 체제로 민심을 외면했다는 비판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비대위원에도 친윤 중심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일부 수도권 지역·소장파 의원의 합류로 '변화와 쇄신' 이미지를 노렸지만 이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지 않고 구색 갖추기에만 그친다면 오히려 '도로친윤당'에 쐐기를 박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날 국민의힘 전국위원회 회의를 통해 임명된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지도부 인선을 발표했다. 비대위원에는 3선 임이자 의원(경북 상주·문경), 재선 최형두 의원(경남 창원·마산 합포), 초선 최보윤(비례대표)·김용태(경기 포천·가평) 의원을 내정했다.

주요 당직자로는 사무총장 3선 이양수(강원 속초·인제·고성·양양), 전략기획부총장 조정훈 의원(서울 마포), 조직부총장 김재섭 의원(서울 도봉), 수석대변인 신동욱 의원(서울 서초), 비대위원장 비서실장 강명구 의원(경북 구미)이 임명됐다.

정치권에서는 김용태·김재섭 의원 등 소장파 임명으로 '균형 있는 인사'를 노렸다는 평가가 나왔다. 또 수도권 의원들을 포함시켜 '수도권형 비대위'를 추구했다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구색 갖추기에 그쳤다"는 평가도 적지 않다. 한 초선 의원은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균형 있게 임용하려고 신경을 쓴 것 같다"면서도 "주요 보직에 강명구, 조정훈, 김상훈 의원 등 친윤 성향이 포함돼 큰 혁신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당이 변화와 쇄신의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선 계파색이 옅은 의원의 목소리가 얼마나 반영될지가 관건이다. 최수영 시사평론가는 "김용태, 김재섭 의원 등 소장파 의원들이 주류 세력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메시지와 이미지 관리를 잘하는 게 중요하다"며 "그렇지 않다면 '단순히 장식품으로 데려다 놓았냐'는 비판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다만 권 위원장의 취임사를 고려했을 때, 당장 당의 기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사진은 권성동 국민의힘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30일 전남 무안군 무안종합스포츠파크에 마련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희생자 합동분향소에서 조문을 하고 있는 모습. /무안=남윤호 기자

다만 권 위원장의 취임사를 고려했을 때, 당장 당의 기조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권 위원장은 이날 취임사를 통해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으로 불안과 걱정을 끼쳐드린 점, 국정을 책임지는 집권여당의 비대위원장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여당을 향한 국민의 비판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하지 않은 채 탄핵에도 사과하며 보수 지지층을 의식한 발언을 이어갔다.

또 권성동 원내대표의 최근 발언과 비슷하게 야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겨냥한 비판도 했다. 권 위원장은 "줄 탄핵으로 국정을 마비시키면 그 피해는 모두 국민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며 "입법 폭거를 멈춰 달라"고도 했다.

권 위원장에겐 당내 화합과 혁신이라는 크게 두 가지 과제가 남았다. 당분간은 제주항공 참사 수습에 집중하며 당 내부 안정에 최선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권 위원장은 취임 후 첫 일정으로 여객기 사고가 발생한 전남 무안을 찾아 참사 유가족을 위로하고 사고 수습 방안을 논의했다.

현장을 찾은 권 비대위원장은 유가족을 만나 "정부가 어려운 상황에 있지만 모든 관계자가 사고 수습을 위해서 그리고 희생자들의 마지막 가는 길을 잘 모시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있다"며 "국민의힘도 중앙당 차원에서 최대한 협력하고 최대한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이밖에 탄핵 정국 속 대야 협상 능력도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국회 몫 헌법재판관 임명과 쌍특검법(내란 특검법·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관련해 야당의 탄핵 압박에 어떻게 대응할지 등 풀어나가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sum@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