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러 정책 무조건 지지"…푸틴 "새 문서 준비" 화답


19일 금수산 영빈관, 북러 회담 공식 개최
외교·국방 등, '북 6명-러 13명' 참모 배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북러 정상회담을 공식 시작했다. 김 위원장은 러시아 정책을 무조건 지지한다고 밝혔고, 푸틴 대통령은 북러 관계 기초가 될 새 문서가 준비돼 있다고 화답했다. 양국은 이번 회담을 통해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를 맺을 예정이다. /AP.뉴시스

[더팩트ㅣ김정수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24년 만에 방북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북러 정상회담을 공식 시작했다.

이날 러시아 국영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북한은 러시아 정책을 무조건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고, 푸틴 대통령은 "북러 관계 기초가 될 새 문서가 준비돼 있다"고 화답했다.

양국 정상은 김일성 광장에서 공식 일정을 시작했다. 김일성 광장은 북한이 주요 정치 행사 또는 외국 귀빈 등의 환영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곳으로,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앞서 이곳에 대형 구조물이 설치되는 모습이 포착된 바 있다.

타스통신 등 러시아 언론이 공개한 사진을 살펴보면 김일성 광장에는 북한과 러시아 국기가 나란히 걸린 채 '조로 친선'과 '환영'이라는 문구가 설치됐다. 중앙 플랫폼에는 양국 정상의 초상화가 걸렸으며 의장대가 줄지어 있었고, 환영 인파는 종이꽃과 북한과 러시아 깃발을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이었다.

이번 북러 회담은 약 90분간 진행될 예정으로 회담 장소는 금수산 영빈관이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정상 회담 외에도 산책과 차담 등의 일정을 보낼 전망이다. 양국 정상이 함께할 시간은 최소 9시간으로 보도됐다.

회담에는 북한과 러시아 측 외교, 국방 등 여러 분야의 참모들이 배석했다. 북한 측에선 △김덕훈 내각 총리 △최선희 외무상 △박정천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조용원 노동당 조직비서 △김성남 노동당 국제부장 △임천일 러시아 담당 외무성 부상 등 6명이 참석했다.

러시아 측에선 △데니스 만투로프 제1 부총리 △알렉산드로 노박 에너지 부문 부총리 △드리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 △로만 스타로보이트 교통부 장관 △알렉산드로 마체고라 주북러시아 대사 △알렉세이 크리보루치코 국방차관 △유리 보리소프 로스코스모스(연방우주공사) 사장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 장관 △안드레이 벨로우소프 국방장관 △알렉산드르 코즐로프 천연자원부 장관 △미하일 무라시코 보건장관 △올레그 벨로제로프 철도공사 사장 등 13명이 자리를 잡았다.

북러 양국은 이번 회담을 통해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를 맺을 예정이다. 기존 북러 관계는 선린 우호 관계에 머물러 있었는데,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는 이보다 세 단계 높은 협력 수준을 의미한다. /AP.뉴시스

푸틴 대통령은 영빈관에서 김 위원장과 확대 정상회담을 시작하며 "우크라이나 정책을 포함해 러시아 정책에 대한 북한의 일관되고 흔들리지 않는 지지를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이어 "러시아는 수십 년간 미국과 그 위성국들의 패권 및 제국주의 정책에 맞서 싸우고 있다"며 "양국 간 상호작용은 평등의 원칙과 호혜에 대한 상호 존중을 기반으로 한다"고 강조했다.

북러 양국은 이번 회담을 통해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를 맺을 예정이다. 기존 북러 관계는 선린 우호 관계에 머물러 있었는데 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는 이보다 세 단계 높은 협력 수준을 의미한다. 러시아 측에서 국방, 외교, 교통, 에너지 등 전 분야 참모들이 참석한 만큼 양국의 협력 관계가 한층 두터워질 전망이다.

특히 북러 간 군사 협력 수준이 강화될 것으로 관측되는데, 과거 북한이 소련과 맺었던 '유사시 자동 군사개입'이라는 조항이 부활할지 주목된다. 앞서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러시아 언론을 통해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협정 체결에 있어 '안보 문제'가 포함된다고 밝힌 바 있다.

아울러 러시아가 미국 등의 주도로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서 퇴출당한 뒤 자체 개발한 러시아금융통신시스템(SPFS)에 북한을 편입시킬지 여부도 관심이 모인다.

또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쟁 과정에서 인구 감소에 따른 노동력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만큼, 북한에 노동자 파견을 요청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이 경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에 위반되는 만큼 합의하더라도 공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js8814@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