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조채원 기자] 정부가 오는 6월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대아프리카 외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아프리카와 호혜적·장기적·지속가능한 파트너십을 구축해 우리 외교의 저변을 적극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외교부는 지난해 11월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준비기획단 출범 후 고위급 인사, 민간 차원의 교류를 활발히 이어왔다. 지난달에만 △정상회의 준비위 2차회의(2일) 개최 △아프리카 진출 우리기업 간담회 개최 (14일) △차관보 에티오피아 및 아프리카연합(AU) 방문(22일) △외교부-주한아프리카대사단 협의회 개최(28일) 등 네 차례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정상회의 준비위 2차 회의에서 "전 세계의 자유, 평화, 번영에 기여하는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 실현에 있어 아프리카와의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특히 '글로벌 사우스'(남반구에 위치한 신흥국·개발도상국 통칭)의 영향력 확대에 따라 아프리카의 협력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19일 민주주의 정상회의 장관급 행사 참석 차 방한한 마니슈 고빈 모리셔스 외교장관과 양자회담을 가졌다. 두 장관은 회담에서 북한의 도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조가 중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에 모리셔스 정상의 참석을 기대한다'고 했고 고빈 장관은 '정상이 참석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화답했다. 조 장관은 20일에는 감비아 외교장관과 회담 예정이다.
◆'전략적 중점 지역' 대(對)아프리카 외교 필요성 증대
윤석열 대통령은 2022년 11월 23일 주한 아프리카 대사단 초청 만찬에서 임기 중 최대 규모 다자회의가 될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를 발표한 바 있다. 글로벌 중추국가라는 비전 구현과 동시에 아프리카의 경제적, 지정학적, 정치적 중요성을 감안한 조치로 풀이된다.
외교전략연구소가 지난해 12월 발간한 '2024 한-아프리카 특별정상회의 개최 성과 및 효과 극대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 대륙에는 석유, 금, 구리, 철광석, 우라늄, 코발트, 다이아몬드 등 수익성 높은 천연자원이 풍부하다. 한 예로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코발트의 70%가 아프리카 중부에 위치한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생산된다.
인적 자원도 풍부하다. 현재 약 14억 명인 아프리카 전체 인구는 2050년 약 25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에선 15~35세 사이 젊은 층이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지정학적 중요성도 있다. 북동부에 위치한 이집트, 수단, 에리트레아, 지부티, 소말리아는 주요 해상수송로인 홍해, 바브엘만데브(Bab El-Mandeb) 해협 혹은 아덴만(Gulf of Aden)에 인접한다. 또한 케냐, 탄자니아, 모잠비크, 남아공을 잇는 인도양 연안 및 나이지리아, 가나, 코트디부아르 등과 인접한 기니만(Gulf of Guinea)도 주요 물자 수송로로 알려져 있다.
아프리카가 국제사회 '캐스팅 보터'라는 점도 적극 협력 필요성으로 꼽힌다. 1국가 1표가 원칙인 유엔총회, 유엔 산하 기구에서 어젠다 채택이나 수장 선출을 선출할 때 54개국(UN 회원국 기준)으로 구성된 아프리카 국가들의 지지는 필수다. 세계박람회(엑스포) 개최지를 선정하는 국제박람회기구(BIE) 전체 회원국 183국 중 1/4이 넘는 49개 국이 아프리카에 속해 있다.
◆아프리카 모든 나라와 수교했는데…정상회의는 처음
그간 한국의 아프리카로의 외교 전선 확대는 중국, 미국, 일본 등에 비해 다소 미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아프리카 모든 국가와 수교를 맺고 있지만 재외공관이 설치된 곳은 24개 국가(대사관 24곳, 분관 2곳)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난 2월 호주 민간 싱크탱크 로위연구소가 발표한 '글로벌 외교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에 설치된 중국의 재외공관 수는 60개, 미국은 56개다. 일본은 아프리카 36개 국가에 대사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아프리카와의 관계 강화를 위해선 고위급 정부 인사 간 교류 활성화 필요성도 대두된다. 미·중·일은 이미 미국-아프리카 정상회의, 중국-아프리카 협력포럼 (FOCAC), 도쿄아프리카개발국제회의(TICAD) 같은 정상급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은 장관급 회의인 한-아프리카 포럼을 3~4년 주기로 개최해왔지만 정상급 회의는 오는 6월이 최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날 <더팩트>와의 통화에서 "이번 정상회의에서 다수의 양국 간 투자협정 체결 등 의미있는 성과가 나오고, 참석한 국가들 간 정례화가 좋겠다는 의견이 모아지면 정상급 회의 정례화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 국민들이 회의를 계기로 아프리카를 이전보다 가깝게, 진정한 협력 파트너로 느낄 수 있게 된다면 국내 차원의 성과라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