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박숙현 기자] "참사와 같은 재난을 겪은 사람에게 개인적인 극복도 중요하지만 진상규명 만큼 큰 치유는 없습니다. 잘못한 사람을 찾아서 벌주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 극복의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치료와 상담으로 아무리 개인적으로 노력해도 결국 바뀌지 않는 사회와 쏟아지는 망언들이 제 노력을 모두 물거품으로 만듭니다."
12일 국회 '용산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국조특위)' 2차 공청회에서 참사 생존자인 김초롱 씨가 증언대에 섰다. 김 씨는 고위 공직자의 부적절한 상황인식과 발언이 '2차 가해'라고 지적하면서 정확한 진상규명과 상황판단이 중요하다고 비판했다.
김 씨는 이날 생존자 2명 중 첫 번째로 마이크를 잡았다. 떨리는 목소리로 미리 준비한 원고를 읽어 나갔다. 김 씨는 "나는 왜 살았는가. 살았다면 어떻게 살 것인가 고민하다가 이 자리에 나오게 됐다"고 말했다. 진술에 따르면 김 씨는 2017년부터 매년 핼러윈을 즐기기 위해 이태원을 찾았다. 참사 당일에도 여느 때처럼 이태원으로 향했다. 저녁 10시께부터 인파가 몰렸고 "압박이 점점 심해져 발이 동동 뜰 정도"였다.
김 씨는 참사 당일 상황을 덤덤하게 설명해나갔다. 그는 "오후 10시 40분부터 11시 20분이었다. '사람이 깔려 죽었어요. 제발 통제에 협조해주세요' 외치는 것을 봤고, 이내 곧 1초에 4, 5명씩 들것으로 실려 나오는 사람들을 보게 됐다. 뭔가 잘못됐다 느꼈지만 실려가는 사람들이 모두 죽은 것이라고는 감히 상상도 못했다"고 했다. 김 씨는 이태원 상인들의 도움으로 자정을 넘겨 귀가했다고 한다.
그러나 집에 돌아와서도 불안과 공포는 이어졌다. 김 씨는 "집으로 돌아오고나서 잠을 한숨도 자지 못했다. 뉴스 속보가 뜰 때마다 사망자 숫자가 올라가는 것을 보며 도대체 내가 무슨 현장에 있었던 것인지 피부로 느꼈고 죄책감과 후회로 서서히 제 일상은 모든 것이 망가졌다"고 했다.
김 씨는 직접 심리 상담을 신청하는 등 적극적으로 트라우마 극복에 나섰다고 밝히면서 "저는 강한 사람이다. 심리상담도 자발적으로 잘 받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악성 댓글이나 온라인에서 사람들이 하는 말이 저를 힘들게 하진 않았다. 저에게 2차 가해는 장관, 총리, 국회의원들의 말이었다"라며 울먹였다.
그는 "참사 후 행정안전부 장관 첫 브리핑을 보며 처음으로 무너져내렸다. '예전에 비해 특별히 우려할 정도의 인파는 아니었고 경찰 병력을 미리 배치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었다' 저는 이 말을 '놀러 갔다가 죽은 사람들이다'라고 받아들였다"고 했다.
이어 159번째 희생자 소식에 한덕수 국무총리가 '스스로 더 굳건하고 치료를 받겠다는 생각이 강했으면 좋지 않았을까'라고 한 발언을 언급하며 "치료와 상담으로 아무리 개인적으로 노력해도 결국 바뀌지 않는 사회와 쏟아지는 망언들이 제 노력을 모두 물거품으로 만든다"고 반박했다.
김 씨는 "저는 올해도 이태원에 갈 것이다. 우리는 반드시 일상으로 돌아가야 하고, 아무리 생각해도 이태원과 핼러윈은 잘못한게 없기 때문"이라며 "누군가에게 일상이었던 이태원과 누군가에게 일상이었던 할로윈이 왜 아직도 혐오의 대상으로 남아있는지 알 수 없다. '그렇게 사람 많은 곳은 가는게 아니야'라고 알리는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무엇이 잘못 됐는지, 왜 사람들은 혐오문화를 생성해내는지를 다 고민하고 생각해야 할 때"라고 했다.
이어 "우리는 좋은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참사현장에서 모두는 삼류가 아닌 일류였다. 삼류는 그 위에서 시스템을 잘 돌아가게 지휘하지 못한 사람들"이라며 "참사의 원인은 유흥과 밤문화, 외국 귀신파티문화가 아니다. 참사의 유일한 원인은 군중밀집관리 실패"라면서 진술을 마쳤다.
한편 이번 공청회에 여당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출석을 반대하면서 이 장관과 생존자, 유족과의 면담은 불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