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尹, 집무실 이전 '정면 충돌'…신·구 권력 기싸움


靑 "안보 공백 우려" vs 尹측 "5월10일 靑 완전 개방 이행"

문재인(왼쪽) 대통령이 21일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에 제동을 걸었다. /청와대 제공·국회사진취재단
문재인(왼쪽) 대통령이 21일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에 제동을 걸었다. /청와대 제공·국회사진취재단

[더팩트ㅣ통의동=신진환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 집무실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에 제동을 걸었다. '안보 공백'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윤 당선인 측은 집무실 이전 공약 이행을 재확인함에 따라 현 권력과 미래 권력 간 충돌이 현실화된 양상이다.

먼저 인수위 측에서 드라이브를 걸었다. 김은혜 당선인 대변인은 18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금융연수원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브리핑을 열고 청와대 이전 관련 496억 원 예비비를 승인하는 안건이 오는 22일 열리는 국무회의에 상정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 대변인은 "인수위법 7조에 보면 인수위 업무에 따른 것뿐만 아니라 관계부처의 협조 요청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돼 있다"며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내일(22일) 국무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난색을 보였다. 전날 윤 당선인이 청와대의 용산 이전 계획을 직접 발표한 지 하루 만이다. 윤 당선인 측이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을 위한 예산 확보를 위해 현 정부에 요청한 예비비 편성안을 두고 청와대는 국무회의에 상정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확대관계장관회의 결과 브리핑에서 "새 정부 출범까지 얼마 남지 않은 촉박한 시일 안에 국방부, 합참, 대통령 집무실과 비서실 등 보좌기구, 경호처 등을 이전한다는 계획은 무리한 면이 있어 보인다"고 했다.

윤 당선인의 용산 집무실 이전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됐다. 사진은 윤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국회사진취재단
윤 당선인의 용산 집무실 이전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됐다. 사진은 윤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한국금융연수원 별관에 마련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청와대 대통령 집무실의 용산 국방부 청사 이전 관련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국회사진취재단

박 수석은 또 "준비되지 않은 국방부와 합참의 갑작스러운 이전과 청와대 위기관리센터 이전은 안보 공백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시간에 쫓겨야 할 급박한 사정이 있지 않다면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청와대 모두 더 준비된 가운데 이전을 추진하는 게 순리"라고 강조했다.

청와대가 '안보 공백'을 고리로 제동을 걸면서 윤 당선인의 '용산 집무실' 이전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됐다. 인수위 측은 내심 협조를 기대했지만, 청와대의 공개 반대 입장이 나오자 "안타깝다"며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김 대변인은 입장문을 내고 "윤 당선인은 어제 대통령실 용산 이전에 대해 국민에게 정중하고 소상하게 말씀드렸으나, 문 대통령이 가장 대표적인 정권 인수인계 업무의 필수사항에 대해 협조를 거부하신다면 강제할 방법이 없다"고 했다.

이어 "윤 당선인은 통의동에서 정부 출범 직후부터 바로 조치할 시급한 민생 문제와 국정 과제를 처리해나갈 것"이라면서 "5월10일 0시부로 윤 당선인은 청와대 완전 개방 약속을 반드시 이행하겠다"고 했다. 윤 당선인이 취임하더라도 청와대에 들어가지 않겠다는 약속을 재확인한 것이다.

현재로선 윤 당선인이 취임 이후 곧바로 용산 집무실에서 근무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청와대가 공개적으로 윤 당선인의 속전속결식 '용산 집무실' 이전에 우려를 표한 것은 엄중하게 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반대로 윤 당선인의 '탈(脫) 청와대' 의지는 확고하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문제에 대한 대립으로 신구 권력이 연쇄 충돌할 수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shincombi@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