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정상외교 박차…국제무대 존재감 키우기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활발한 정상외교 행보로 국제무대에서의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문 대통령이 지난달 31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 정상토론세션에 참석해 의제 발언을 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기후위기 대응, 북한 문제 고리로 글로벌 광폭행보

[더팩트ㅣ청와대=허주열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활발한 정상외교 행보로 국제무대에서의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지난달 방미 및 한미 정상회담, 30~31일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이하 P4G 서울 정상회의) 주재, 오는 11~13일 영국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등 굵직한 외교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문 대통령은 방미 기간 미국 측의 극진한 대접을 받으면서 △한미 동맹의 포괄적 경제 동맹 확장 △백신 글로벌 포괄적 파트너십 체결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진전 공감대 형성 △한미 미사일 지침 해제 △미국의 얀센 백신 101만2800회분 지원 등의 성과를 얻고 귀국했다.

여야 정치권 평가는 엇갈렸지만, 국민은 호평을 내리기도 했다. 지난달 26일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평가를 조사해 발표한 결과를 보면 '잘했다'는 응답이 56.3%로 '잘 못 했다'는 응답(31.5%)보다 24.8%P 높게 나타나기도 했다(조사기간 5월 24~25일, 만 18세 이상 2004명 조사,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2.2%P,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누리집 참조).

곧바로 이어진 P4G 서울 정상회의에는 지난 2018년 덴마크에서 열린 1차 P4G 정상회의 참석자(한국·덴마크·네덜란드·베트남·에티오피아 5개국 정상) 규모를 훌쩍 넘어선 68명의 정상급 인사가 참석해 참가국 및 국제기구들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실천을 담은 문서 '서울선언문' 채택을 이끌어냈다.

한국이 처음 주최한 기후환경 분야 다자회의인 P4G 서울 정상회의를 계기로 문 대통령이 선진국들의 관심이 높은 기후대응 선도국 도약을 위한 입지를 다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지난 1일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에서 P4G 서울 정상회의 성과에 대해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서 우리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야심 찬 목표와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함께 아우르는 포용적 노력이 주목받았다"라며 "우리나라가 서로 다른 여건과 입장을 가진 선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하며 국제 기후 대응을 선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정 장관은 이어 "각국 정상과 국제기구 대표들은 기후변화 및 환경 문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에 P4G 정상회의가 개최된 것을 높이 평가했다"라며 "우리나라의 글로벌 리더십과 강한 리더십에 대한 강한 연대와 지지를 표명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21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공동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청와대 제공

문 대통령은 오는 11~13일 영국에서 열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첫 대면 다자 정상외교 무대인 G7 정상회의에도 초청돼 참석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G7 정상회의 기간에는 한미일 3국 정상회의 개최가 열릴 가능성도 있다. 한미일 정상회의가 성사되면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9월 이후 약 4년 만에 개최하는 것이다.

2일 일본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오는 G7 정상회의 기간 한미일은 미국 주도로 정상회의 개최를 조율 중이다. 문 대통령,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는 한미일 정상회담이 개최될 경우 북한 핵미사일 개발 대응 등 한반도 현안을 논의할 전망이다. 이 자리에서 북한에 대한 정책 재검토를 마친 바이든 대통령은 새로운 대북 정책을 설명하고, 정상 간 대북 정책 조율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G7 정상회의 이후에도 하반기에 중요한 정상외교 일정이 예정돼 있다. 문 대통령은 10월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 11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도 참석할 예정이다.

기후위기 대응과 북한 문제를 고리로 문 대통령의 활발한 정상외교가 이어지는 가운데 '위안부', 독도 갈등으로 얼어붙은 한일 관계 개선은 뾰족한 해법이 보이지 않는 난제다. G7 기간 한미일 정상회담, 미일 정상회담 개최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지만, 한일 정상회담 개최 여부는 불투명하다. 일본 외무성 측에선 임기가 얼마 남지 않은 문 대통령과 회담을 개최해 얻을 실익이 없고, 한일 문제 진전은 어렵다는 판단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온다.

sense83@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