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비핵화 확신…국제사회 화답할 차례" 트럼프 "제재 계속"
[더팩트ㅣ이철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제73차 유엔 총회 연설에서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인식이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달랐을까. 문 대통령은 '확신과 평화'에 방점을 찍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문제의 핵심을 어디에 뒀을까.
문 대통령은 26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제73차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25일) 같은 장소에서 연설했다. 한미 정상의 유엔 총회 기조연설의 공통점이라면 '북한 비핵화'를 꼽을 수 있다. 한미 정상의 북한 비핵화와 대북 제재에는 아주 미세한 차이를 보였다.
한미 정상의 유엔 총회 기조연설을 자세히 살펴보면 문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비핵화 의지에 확신을 보이며 국제사회에 간접적으로 '대북 제재 완화'를 요구한 것으로 해석됐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메시지를 보내면서도 '대북 제재'는 계속되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보다 하루 일찍 기조연설을 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문제와 관련해 "많은 나라의 지원 덕분에 이제 미국은 북한과 대화와 교류를 하고 있다. 이제 과감한 평화를 위한 도약의 한 걸음을 내딛을 수 있게 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의 용기와 과감한 조치에 대해서 높은 평가와 함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라며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이후 김 위원장의 행동을 추켜세웠다.
문 대통령도 기조연설에서 트럼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용기와 결단에 경의와 감사를 표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평화를 바라는 세계인들에게 감동과 희망을 주었다"고 지난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평가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가 확고하다는 점을 유엔 회원국들에게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은 가능한 이른 시기에 비핵화를 끝내고 경제발전에 집중하고 싶다는 희망을 밝혔다"면서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취한다면 영변 핵시설의 영구 폐기를 포함한 추가적 비핵화 조치를 계속 취할 용의가 있다고 분명하게 밝혔다"며 국제사회에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를 피력했다.
한미 정상은 북한의 태도 변화는 유엔 회원국들의 지지가 있었다고 평가하며, 비핵화를 위해 유엔 회원국의 지지가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은 "유엔은 북한에 평화로 나아갈 용기를 주었다. 유엔의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 "유엔 회원국의 지원 덕분에 우리가 이 지점까지 왔다"고 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계가 좋아지고 있지만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서는 '제재'가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물론 비핵화가 이행되기 전까지 제재는 계속해서 이행될 것"이라며 "더 나아가려면 유엔 회원국들의 지원이 더 필요하다"면서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공조를 요청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북한이 우리의 바람과 요구에 화답했다'며 이제 국제사회가 북한의 새로운 선택과 노력에 화답할 차례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북한은 오랜 고립에서 스스로 벗어나 다시 세계 앞에 섰다"면서 "김 위원장의 비핵화 결단이 올바른 판단임을 확인해 주어야 한다. 나는 국제사회가 길을 열어준다면 북한이 평화와 번영을 향한 발걸음을 멈추지 않으리라 확신한다"라며 사실상 국제사회가 북한의 결단에 대북 제재 완화 등으로 화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피력했다.
이어 "남북은 1991년 9월 17일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그날은 '세계 평화의 날'이기도 했다. 27년이 흐른 지금, 남과 북은 '비록 남북한이 별개의 회원국으로 시작했지만, 언젠가는 화해와 협력, 평화를 통해 하나가 될 것'이라는 다짐을 실현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분단의 장벽을 넘었으며, 마음의 벽을 허물고 있다. 우리는 함께하면 얼마든지 평화에 이를 수 있다는 사실을 국제사회에 증명하고 있다"라며 최근 남북 관계가 진전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국제사회에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러분, 우리 모두는 평화를 바란다. 가진 것을 함께 나누는 일이 평화이다. 모두 함께 이룬 평화가 모든 이를 위한 평화이다.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와 비핵화를 향한 길, 평화로운 세계를 향한 여정에 여러분 모두, 언제나 함께 해주실 것으로 믿는다"고 국제사회에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