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 보는 남북회담] 南 "회담" vs 北 "수뇌상봉" 명칭 다른 이유

오는 4월 27일 문재인(오른쪽)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 정상회담을 갖는 가운데 지난 20일 정상 간 핫라인을 개통했다./청와대 제공

11년 만에 남북 정상이 얼굴을 마주한다. 오는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이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다. 전 세계가 '한반도의 봄'을 주목하고 있다. 지구상의 마지막 냉전지인 한반도에도 '평화의 꽃'을 피울 수 있을까. <더팩트>는 코앞으로 다가온 남북회담의 장소와 동선, 일정 등을 미리 들여다본다.

[더팩트 | 청와대=오경희 기자] "2018 남북 정상회담" vs "수뇌상봉"

65년 만의 남북 정상 간 만남을 남북은 각각 이같이 일컫는다. 뜻은 같지만, 다른 명칭을 사용하는 데는 역사적·외교적 배경과 인식 차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우리 측은 정상 간 만남을 '회담'이란 용어로 표현한다. 11년 만의 남북 정상회담 명칭을 '2018 남북 정상회담'으로 확정한 별도의 이유도 있다. 지난 3월 27일 명칭을 정하기 전까지만 해도 '3차 정상회담'이란 용어로 쓰였다. 지난 2000년 6월 13일 1차 정상회담(김대중 전 대통령)과 2007년 10월 2일 2차 정상회담(노무현 전 대통령)을 잇는 성격으로 해석됐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기자들과 만나 "정상회담의 경우 차수(次數)를 붙이지 않는다"며 "그런 사항을 감안해 올해(2018년) 열리는 정상회담으로 네이밍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지난 두 차례 회담을 뛰어넘는 성과에 대한 기대를 드러낸 것이란 시각도 있었다. '남북 회담 정례화'를 바라는 문재인 정부의 의도도 숨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어떨까. 리선권 북한 조국평화통일위원장은 지난달 29일 판문점 고위급 회담을 마치고 나오면서 "북남 '수뇌상봉' 일정을 공식 발표함으로써 온 겨레에게 새로운 희망을 안겨주게 됐다"고 밝혔다. '회담'이란 말 대신 '수뇌상봉'이란 단어를 썼다.

지난 3월 29일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고위급 회담에 참석한 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대표단 일행이 회담을 마친 후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측으로 귀환하고 있다./청와대 제공

눈길을 끈 점은 미국과 중국 정상 간 만남은 '회담'이란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28일 '조선중앙통신'은 북·중 정상회담 소식을 전하면서 "김정은 원수님,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습근평(시진핑·習近平) 총서기와 회담"이라고 보도했다.

'회담'과 '상봉' 두 가지 표현을 사용한 북한의 '의도'에 대한 해석은 엇갈린다. 일부 외교·통일 전문가들은 "(상봉이란 표현은) 우리 정부를 파트너로 인식하지 않는다"고 보며, 또 다른 쪽에선 "민족 내부의 문제여서 '상봉'이란 표현을 썼을 수 있다"고 분석한다.

앞서 북한은 두 차례 회담에서도 '상봉'이란 단어를 사용했다. 당시 우리 측에선 '정상회담'을, 북한 측에선 '수뇌상봉'을 고집해 합의문 작성 과정에서 공식 명칭을 통일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이번 회담에서도 '상봉'이란 표현을 쓴 데는 "우리 민족끼리 문제를 해결하자"고 고집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

한편, 이명박 정부 때 끊어졌던 남북 정상 간 '핫라인'이 약 10년 만에 복구됐다. 남북은 지난 20일 청와대와 북한 국무위원회 사이의 핫라인을 개통, 실무자 간 시험통화를 비공개로 진행했다. 이에 따라 오는 27일 '2018 남북정상회담'이 열리기 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첫 통화를 할 예정이다.

ari@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