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오경희 기자] '2030' 청년 표심은 어디로 향할까. 이번 대선에서도 청년층의 선택이 '핵'으로 부상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에 분노한 청년층이 차기 대선도 가름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청년층은 지난해 20대 총선에서 높은 투표율로 여소야대를 이끌었다.
20일 현재 '4말5초(4월26일·5월2일) 대선'이 유력한 가운데 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청년 표심'은 야권 정당과 후보들을 압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유권자 평균 지지도와 유사했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한국갤럽'이 지난 14~16일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3명(표본오차 ±3.1%포인트, 95% 신뢰수준)을 대상으로 정당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더불어민주당은 '19-29세' 47% , '30대' 58%를 기록했다. 이어 국민의당(9% ·14%), 정의당(7% · 2%),자유한국당(3%·3%), 바른정당(2%·7%) 순이었다.
민주당은 2030세대뿐만 아니라 40대(58%), 50대(38%), 60대 이상(26%) 등 4060세대까지 전 연령층에서 1위를 기록하며 최고치(44%)를 연일 경신 중이다.
그러나 주목할 점은 '청년 표심' 가운데 '유보층'이다. '19-29세'는 33%, '30대' 17%가 '의견유보'를 선택했으며, 이는 전 연령층 가운데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는 여전히 '특정 정당'을 선택할지 결정을 못했거나, 공개적으로 표시하기를 꺼리는 '숨은 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때문에 '탄핵 정국'으로 위기에 처한 집권 여당과 '정권 교체'를 노리는 야권 모두 '2030세대'의 표심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현 정권에 대한 증오는 곧 2030세대의 표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전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보적으로 분류되는 2030세대는 지난 20대 총선에서도 친박(친박근혜) 공천 등 집권 여당에 반발해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19대 총선 때와 비교해 20대의 투표율은 약 10% p 이상, 30대 전반에서도 7% p 이상 급등했다.
특히 대선 투표율이 총선 투표율에 비해 많게는 20% p 높고, 18대 대선 투표 참여자 기준 전 연령층에서 2030세대의 비중은 33.1%에 이른다는 점을 고려하면 '청년 표심'이 차기 대선의 '주요 타깃층'으로 지목될 수밖에 없다.
이를 방증하듯, 여야 대선 주자들은 앞다퉈 청년 공약과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선 주자별 2030세대 지지율은 문재인 전 대표(19~29세 40%, 30대 48%)가 절반 가까운 지지를 받고 있으며, 이어 안희정 충남지사(12%, 16%), 이재명 성남지사(5% ,11%), 안철수 전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6%, 8%) 등의 순이다.
전 연령층에서 지지를 받는 문 전 대표는 일찌감치 '일자리 대통령'을 자임하며 청년 표심을 공략했다. 문 전 대표는 공공부문에서 81만 개,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 50만 개 등 모두 131만 개 일자리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문 전 대표를 바짝 추격 중인 안희정 충남지사는 일자리에 대한 기업의 투자를 늘리기 위해 경제민주화를 공약하고 나섰다. 안 지사는 20일 "규칙 앞에 중소기업과 재벌이, 약자와 강자가 동등한 공정한 시장을 조성하겠다"며 '공정·혁신·개방'이라는 비전을 담은 경제 공약을 발표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흙수저' 지지층 공략에 주력했다. 이 시장은 기본소득제를 통해 유효수요를 창출하고 근로시간 준수, 연장근로수당 지급 등 근로환경 정상화로 일자리를 최대 269만 개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4차 산업혁명'을 일자리 창출 공약으로 제시했고, 유승민 바른정당 의원은 '청년 창업 지원정책'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와 관련해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지난 총선에서 드러났듯, 젊은 층의 현 정권에 대한 불만은 분노의 수준까지 이르러 대선에도 영향력을 드러낼 것으로 보이지만, 조기 대선 정국과 맞물려 청년층을 겨냥한 대선 주자들의 공약이 포퓰리즘성 정책 경쟁으로 번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우려하며 "향후 '유보층'의 선택이 어느 정당, 어느 후보로 흐를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한편 여론조사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http://www.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