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 기획] 권력이 사랑한 요정, 관능 몸짓 접다

한 때 정권 실세와 고위 관료가 은밀히 만나던 요정. 고급 요릿집(한정식집)을 뜻하는 요정은 ‘밤의 정치’, ‘밀실 정치’로 가는 비밀 통로였다. 사진은 맨위 왼쪽부터 서울시내 대표 요정 선운각(현 종교시설), 삼청각(현 한정식집), 오진암(현 무계원), 대원각(현 길상사)이다./우이동·성북동=황신섭·고수정 기자

[더팩트|황신섭 기자] 도심 속 숨은 불야성. 연고와 정실로 뭉친 정치 패거리의 비밀 장소.

칸막이에서 이뤄진 인사 청탁과 성 접대 등 검은 뒷거래.

정권 실세와 고위 관료가 은밀히 찾던 곳. 바로 ‘요정’이다. 고급 요릿집(한정식집)을 뜻하는 요정은 ‘밤의 정치’, ‘밀실 정치’로 가는 비밀 통로였다.

1963년 광화문전화국에 걸려온 전화사용 횟수에서도 요정이 가장 많았다. 전두환 정권은 대형 요정에 수십억 원을 빌려주고 모범업소로 지정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화려하던 서울시내 대표 요정은 성매매 알선 수모를 겪거나 경영난에 시달리다 현재 종교·문화시설, 전통문화 체험장으로 변했다.

<더팩트>는 과거 권력이 사랑한 요정 네 곳을 직접 찾아 대한민국 정치권력의 밤 역사를 되돌아봤다.

◆밀실 정치의 산실 ‘선운각’, 얼굴 마담 정인숙 암살로 ‘발칵’

선운각은 얼굴 마담 정인숙씨 암살 사건으로 1970년대 한국 정치계가 발칵 뒤집힌 장소다. 지금은 한 종교단체가 청소년 선교시설로 쓰고 있다./우이동=황신섭 기자

북한산 자락(현 북한산국립공원)에 고즈넉이 모습을 감춘 선운각.

이곳은 60~70년대 삼청각, 대원각과 함께 밀실 정치로 유명한 고급 요정이었다. 1967년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의 후처로 알려진 장모씨가 선운각이란 이름으로 문을 열었다.

박정희 대통령이 자주 연회를 했고, 3부 요인(대통령·국회의장·대법원장)과 외국 원수가 주로 찾았다.

특히 1970년 선운각 얼굴 마담인 정인숙씨가 한강변에서 총상을 입은 채 변사체로 발견되면서 더 유명해졌다.

당시 이곳을 드나들던 정·재계 거물의 프로필이 담긴 ‘정인숙 리스트’는 지금도 우리 정치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다.

선운각은 1979년 박 대통령 시해사건 이후 우여곡절을 겪다 한정식집 고향산천으로 바뀌었다.

그러다 지난 2000년 경영악화로 끝내 문을 닫아 지금은 한 종교단체가 기도원 등 청소년 선교시설로 쓰고 있다.

◆남북 막후 협상 장소 ‘삼청각’, 이제는 ‘복합 문화공간’

요정 삼청각은 걸어서는 들어가도 작은 자동차를 타고 오는 사람은 없다고 할 정도로 권력 실세의 비밀 장소였다. 현재 이곳은 고급 한정식과 전통문화를 두루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성북동=황신섭 기자

'걸어서는 들어가도 작은 자동차를 타고 오는 사람은 없다.'

1972년 서울 성북동에 문을 연 요정 삼청각은 한 때 권력 실세만이 오갈수 있었다. 땅 면적만 무려 1만 9448㎡(5883평).

삼청각은 본디 박정희 대통령이 같은 해 열린 남북적십자회담 때 북한 방문단의 만찬과 막후 협상 장소로 쓰려고 만든 한정식집이었다.

이후 삼청각은 1970·80년대 여야 정치인 등 유력 인사가 밀담을 나누는 고급 요정으로 위세를 떨쳤다.

이 때문에 삼청각은 군사독재 정권 시절 '요정 정치의 본부'로 불렸다. 하지만 이곳도 1980년 후반 강남 룸살롱 문화가 퍼지면서 쇠락했다.

1997년 한정식집 '예향'으로 간판을 바꿔 달았지만 옛 명성을 찾지 못하고 중소 건설업체에 넘어갔다 1999년 12월 문을 닫았다.

삼청각은 2000년 부활했다.

서울시가 같은 해 5월 삼청각을 문화시설로 지정·매입한 뒤 구조 변경(리모델링)해 이듬해 10월 복합 문화공간으로 바꿨다.

2009년 7월부터는 세종문화회관이 운영을 맡고 있다.

현재 삼청각은 누구나 둘러볼 수 있는 참살이 공간, 외국인에게 우리 전통문화를 알리는 체험공간, 고급 한식을 만날 수 있는 맛 공간이다.

◆한 시절 화려한 몸짓 접다. 성매매 알선 수모 겪은 '오진암'

오진암은 마당에 큰 오동나무가 있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서울시 첫 등록식당인 이곳은7·4 남북공동성명 사전 논의 장소로 유명하다. 종로 익선동에서 부암동으로 터를 옮겼다./부암동=고수정 기자

밤의 정치를 만들던 오진암은 마당에 큰 오동나무가 있다 해서 붙은 이름이다.

서울시 첫 등록식당이다. 1900년대 초반에 지었으나 식당(요정)으로 문을 연 것은 1953년이다.

한 시대를 풍미한 주먹 김두한의 단골집으로, 1972년 후반엔 이후락 중앙정보부장과 박성철 북한 부수상이 만나 7·4 남북공동성명을 미리 논의한 장소다.

소궁궐로 불릴 정도로 건축미가 뛰어나다. 조선 말기 서화가 이병직의 집이기도 했다.

1970~1980년대 정·관계 최고의 실력자가 드나든 '요정 정치'의 요람이었다. 2000년대 들어 경영난으로 설자리를 잃은 오진암은 2009년 성매매를 알선하다 적발 당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2010년 8월 결국 사라졌다.

그러나 종로구가 오진암의 역사 가치를 살리고자 오진암을 안평대군의 집터인 무계정사(종로 부암동)로 옮겼다.

전통 문화공간 '무계원'은 오진암의 흔적을 고스란히 품고 있다.

◆밤의 요정 '대원각', 무소유 정신에 감명받아 '길상사'로 탈바꿈

밤의 정치로 명성을 떨친 대원각은 법정 스님의 무소유 정신과 연이 닿으면서 사찰 길상사로 변신했다./성북동=황신섭·고수정 기자

1951년 문을 연 대원각 역시 권력자들이 즐겨 찾던 특별한 공간이었다.

대원각 소유자 고 김영한씨는 16살 때 조선권번에서 궁중아악과 가무를 가르친 금하 하규일 문하에 들어가 기생 진향이 됐다.

그는 월북시인 백석과 사랑에 빠진 뒤 자야(子夜)라는 아명을 얻고 밤의 요정으로 불렸다. 3공화국 시절 대원각은 권력 실세와 거물급 경제인의 밀실 정치 장소로 급부상했다.

그러던 밤의 요정을 바꾼 건 법정스님이었다.

1987년 법정스님의 산문집 '무소유'를 읽은 김씨는 큰 감명을 받았다. 당시 미국에 머물던 그는 비슷한 시기 설법 차 로스엔젤레스(LA)에 들른 법정스님을 만났다.

김씨는 법정스님에게 "대원각 땅 7000평을 시주할테니 절로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

당시 대원각 땅값은 1000억 원이었다. 그는 요정으로 번 돈을 모두 내려놓겠다고 말했다. 법정스님은 줄곧 시주를 거절했다. 하지만 청을 받아들인 법정스님은 1997년 절(길상사)을 지었다.

'밤의 요정, 밀실 정치'의 상징이던 대원각이 '맑고 향기로운 근본 도량'이란 뜻을 지닌 사찰로 변한 것이다.

김 씨는 기생 '진향'에서 '길상화'라는 법명을 받고 1999년 11월 14일 세상을 떠나기 하루 전 길상사에서 마지막 밤을 보냈다.

이후 생긴 길상사의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는 '맑고 향기롭게 길상화 장학금'을 만들어 매년 고교생에게 학비를 지원하고 있다.

밤의 요정은 도심 속 낙원이 돼 그렇게 시민 곁으로 돌아왔다.

hss@tf.co.kr

정치사회팀 tf.psteam@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