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사회적경제 시장 분석 및 판로 확대방안 연구' 결과 발표


경기도 최초 사회적경제 민간 시장 규모(약 4조 8000억 원) 추정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19일 경기도 사회적경제 시장 분석 및 판로 확대방안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경제 판로 확대 정책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

[더팩트ㅣ수원=신태호 기자] 경기도 내 사회적경제 시장 규모가 약 4조 8000억 원에 육박하고, 낮은 인지도와 생산역량 부족 등이 해결 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19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사회적경제 시장 분석 및 판로 확대방안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경제 판로 확대 정책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전수조사를 통해 민간시장 규모를 추정한 것은 이번 연구가 처음이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공공시장 위주로 이루어온 사회적경제 판로 정책의 한계를 넘어 민간시장 진출을 제안하기 위해 진행됐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지난 5월부터 7월까지 경기도 소재 (예비)사회적기업, 마을기업, (사회적)협동조합, 자활기업, 소셜벤처 등 사회적경제조직 6109개를 대상으로 △주요 상품 △매출 및 판로 비중 △판로개척 시 애로사항 등에 대해 전수 조사했다.

조사 결과 운영이 확인된 유효 모집단 4346개소(71.1%)를 기준으로 경기도 사회적경제의 전체 시장 규모는 4조 8024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민간영역 시장규모는 2조 9958억 원으로, 공공영역인 1조 7928억 원보다 67.1%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많은 사회적경제조직이 공공영역보다 민간영역에서 더 활발히 활동하며 경제적‧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 밖에도 사회적경제조직의 주요 강점은 제품의 우수한 품질(27.9%)과 사회적경제에 대한 신뢰(12.5%)이고, 주요 과제는 자본력 부족(14.6%)과 낮은 대중적 인지도(11.2%)로 나타났다.

특히 연 매출 1억 원 미만 소규모 조직은 인지도 부족(16.4%)을, 대규모 조직은 규제(12.7%)와 생산역량 부족(7.3%)을 주요 과제로 인식하고 있어 성장단계별 정책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현재 경기도의 사회적경제 판로지원 정책이 주로 단기적 행사 위주로 구성돼 있어 조직의 업력‧규모‧업종‧소재지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정책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민간 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상품 기획 및 마케팅을 강화하고 대기업과의 연계를 통해 시장 확대를 지원하는 전략을 제시하는 한편, 보다 확장된 범위의 통합적 판로 지원체계 구축을 위해 지역 소셜벤더(사회적경제 특화 유통 전문조직) 육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유훈 경기도사회적경제원장은 "이번 연구는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의 시장 및 판로 현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민간 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며 "앞으로도 정책 기반을 만들 수 있는 자료를 구축하고 다양한 연구를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자생력 강화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지속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사회적경제원은 사회적경제조직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경제적‧사회적 가치가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도민이 제안하고 참여하는 '경기도 사회적경제 작은연구 지원사업' 등 정책연구 사업을 지속하고, 경기도 사회적경제 정책 추진 방향과 근거를 마련할 방침이다.

vv8300@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