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남원=이경선 기자] 정부 부처마다 비만에 대한 기준과 대응 체계가 상이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성별, 연령, 소득 수준, 지역에 따른 비만 유병률의 차이를 고려한 체계적인 대응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7일 박희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남원·장수·임실·순창, 보건복지위원회)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비만으로 진료받은 인원은 2만 1441명으로, 2014년(1만 4702명) 대비 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만 환자는 코로나19 시기를 거치며 2021년 28,199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다소 감소했으나, 올해 상반기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 비만 환자가 남성보다 많지만, 10대 이하에서는 남성 비만 환자가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
지난해 여성 비만 환자는 1만 5444명으로 남성(5997명)보다 2.6배 많았지만, 10대 미만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1.6배 많았고, 10대에서는 남성 비만 환자가 여성보다 1.9배 많았다.
소득 수준에 따른 비만 유병률의 차이도 두드러졌다. 2022년 하위 20%의 비만 유병률은 40.3%로, 상위 20%의 32.8%보다 7.5%p 높았다.
지역별로는 지난해 제주가 36.1%로 비만율이 가장 높았으며, 강원(35.0%), 충북(34.5%), 인천(34.5%), 충남(34.4%) 순으로 뒤를 이었다.
기초지자체별로는 2023년 기준 강원 인제군(44.5%), 충북 보은군(44.1%), 충북 음성군(43.2%), 강원 영월군(42.8%), 전남 신안군(41.8%)의 비만율이 가장 높았다.
도시에 비해 읍·면 지역의 비만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초등학생의 경우 읍·면 지역의 과체중 및 비만 학생 비율이 도시 지역보다 5.7%p 높았다.
비만 환자의 증가와 함께 비만 관련 진료비도 크게 상승했다.
지난해 비만 진료비는 252억 원으로, 2014년 11억 원 대비 2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희승 의원은 "비만은 부정적인 신체 이미지, 불편함, 질병, 사망 등의 위험을 동반하며, 여러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률을 높이는 중요한 건강 문제다. 그러나 비만 유병률은 성별, 연령, 소득 수준, 지역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부처마다 기준과 대응 체계가 다르다"며, "비만이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중요한 질병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국가 차원에서 예방과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coop@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