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종연 단장 "대구권 민・관 협력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는 타지역 선도모델 될 것"

대구시가 올 6월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에 앞서 지역 10개 상급 종합병원과 메디시티대구협의회와 상호 협력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 대구시 제공

올 6월 전국에서 4번째로 경북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

[더팩트ㅣ대구=박성원 기자] 지난 3월 26일 감염병관리위원회에서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포함된 경북권역에 감염병 전문병원을 추가하기로 결정했다. 호남권, 중부권, 경남권에 이어 4번째 추진하는 권역이다.

질병관리청은 인구·생활권, 지역감염 특성 등을 고려해 대규모 신종 감염병 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기존 영남권역을 경북권과 경남권으로 분리했다고 설명했다.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지정은 이번에 선정된 경북권역 소재 종합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3월말 공모해 8주간의 심사를 거쳐 6월 선정될 예정이다.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은 선정평가위원회에서 서면·발표·현장평가 등을 실시해 종합점수 최상위 의료기관을 최종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으로 지정한다.

이에 대구시에서는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에 앞서 메디시티대구협의회와 지역의 10개 상급 종합병원과 민・관 협력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지난 7일 체결했다.

지난해 2월 대구시는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해 전국 어느 지역보다 먼저 혹독하게 코로나 사태를 보내며 지역 민간병원들과의 긴밀한 협조로 어려움을 극복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민간병원들이 병상 협조를 하지 않아 콘테이너 병상이 등장할 정도였지만 대구는 지난해 2월 하루 최다 확진자가 741명이 나올 정도로 심각했을 때도 콘테이너 병상은 없었다.

대구는 전국의 어느 지역보다 민간병원의 협조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곳이다. 그럼에도 이번 민・관 협력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 구축을 통해 기존의 협력체계를 좀더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상생의 형태를 공고화하겠다는 것이다.

이에 <더팩트>는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 구축 방안'을 발표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 김종연 교수를 14일 만나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의 역할과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 구축에 대해 들어봤다.

대구형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 구축 방안을 발표한 공공보건의료지원단장 김종연 교수는 <더팩트>와 인터뷰에서 지역의 민・관 협력 감염병 공동 대응체계가 다른 지역에 좋은 선도 모델이 될 것이라 말했다. / 대구= 박성원 기자

- 이번 메디시티 대구협의회와 10개 상급 종합병원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의미는?

지난해 우리 지역에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병상부족으로 어려움 겪었지만 잘 이겨냈다. 어려움을 이겨낸 요인 중 하나가 지역 민간 병상을 동원해서 코로나19 확진자 입원 치료에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이다.

민과 관의 협력체계가 다른 광역보다 가장 잘 갖춰진 도시가 대구다. 지금까지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당시 중추적 역할을 했던 게 10개 감염병원 전담병원의 책임보직자들이 매일 오전 7시에 모여 병상이나 자원 공동대응을 논의했던 회의가 이번주 47차 회의였다. 회의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2차, 3차 유행 당시 다른 광역에서 겪었던 병상 부족을 대구는 조금 더 여유있게 대처할 수 있었다.

문제는 올 6월 감염병 전문병원 선정이다. 어떤 병원으로 선정할 지 공모 과정에 있는데 선정되는 병원이 있으면 떨어지는 병원도 있다. 이 과정에서 지금까지 잘 협력해 왔던 지역 상급병원 간 갈등이 생기면 안된다.

지역 상급 종합병원들이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단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 이전에 중심역할을 하지 않았던 새로운 병원이 등장해 중심역할을 하게 되는 상황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이 병원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잘 해오던 민관 협력체제를 좀 더 체계적으로 발전시켜 상생을 공고히 하고 체계화 할 필요성이 있었다.

이에 대구시가 120억원 정도 별도 예산을 만들어 10개 병원에 감염병 대응 장비를 갖출 수 있는 예산 지원과 감염병 전문병원이 선정된 후 협력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운영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것을 공식화 하기 위해 협약을 체결한 것이다.

이것이 필요한 이유는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이 들어서면 일반 시민들은 전문병원이 들어서면 병상에 대한 부족 걱정이 없을 거라 생각하지만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은 병상수 36병상으로 기대만큼 크지 않다.

결국 국가 감염병 대응체계에 속하는 국가 지정 격리병상이나 감염병 전문병원의 병상만으로는 지난해 2월이나 3월과 같이 폭발적 환자가 발생하면 병상 부족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감염병 병상은 독특한 특성이 있다. 하나는 수요 예측이 안 되고, 설치하고 유지하는데 굉장히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는 점이다.

그러니 병상을 어느 정도 충분한 양만큼 늘여서 대비하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결국 어느 정도 수준의 공적인 병상을 확보해 유사시 지역의 다른 자원들을 공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유기적인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다. 그런 부분을 체계화시키는 협약이라고 보면 된다.

-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이 선정되면 어떤 역할을 하나?

중증 환자에 대한 진료를 제공하는 것이 가장 크다. 실제 그런 상황이 발생했을 때 지역 환자의 병상 배정 같은 부분에서 리더십을 갖고 전체적인 조정역할을 해야 한다.

평상시는 지역협의체를 구축해서 전체적인 네트워킹을 이끌어 가야 한다. 지역 중증 환자를 볼 수 있는 간호 인력을 양성해서 감염병 대응 역량을 키우고 모의 훈련을 주도해서 전반적인 대응 역량을 끌어올리는 역할도 전문병원이 맡아야 한다.

대구는 민간 거버넌스 협력체계가 잘 되어 있다. 대구에서 유치하는 권역 감염병 협력체계 모형을 잘 만들어서 다른 지역에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대구의 지역 의료인들이 힘을 모으는 것이 굉장히 좋은 사례이다.

- 대구의 지역 민간 협력체계가 견고해지고 잘 유지되는 이유는?

감염병 전문병원 경쟁을 하다 보면 되는 곳도, 떨어지는 병원도 발생한다. 경쟁 이후 지역의 견고한 협력체계가 잘 유지되었으면 한다.

대구시가 처음부터 120억원을 지원하는 이유가 권역 감염병 전문병원에만 시설장비비를 지원하는게 아니라 10개 감염병 전담병원의 일정 역할에 따라 대응 장비를 살 수 있는 예산을 지원하고, 협력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비용을 지원하는 부분도 관계 유지에 도움이 되는 부분이다.

특히 협약을 통해 좀 더 잘 유지하겠다고 공식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다른 지역에 민간 상급 종합병원들이 대구지역 만큼 내놓지 못한 이유가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공공에 대한 정부나 국가 기관에 대한 불신이다.

대구와 중앙정부에서 참여했던 감염병 전담병원들에게 어느 정도 이상의 충분한 보상을 해주고 위기 상황에 민간병원들이 병상을 공적으로 전환했을 때 국가가 충분한 보상을 해준다라는 좋은 선례를 남긴 것이 민간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다.

tktf@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