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김해 간 첨예한 대립에 경남도의 역할 '주목'
[더팩트ㅣ창원=강보금 기자] 경남도는 수도권을 견제할 제2의 수도권 형성을 위해 동남권메가시티 구축을 발판으로 삼았다.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첫 번째 요건인 '1시간 이내 생활권 형성'은 광역교통망 개설로부터 실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경남도는 부산, 울산과 협조해 부전~마산 복선전철 전동열차 도입, 메가시티 급행철도(MTX) 건설, 동남권 순환철도 건설 등의 광역교통망 구축 과제를 논하고 있다.
그러나 김경수 경남도지사가 "비음산터널 개통은 도지사 공약이며, 광역교통에 필요한 터널"이라며 적극 추진 의향을 밝혔음에도 10여년 째 지지부진해, 광역교통망 개설의 실질적인 논의 사항에서 비음산터널은 빠져있는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기존의 창원과 김해를 잇는 주요 도로인 창원터널은 상습 정체 현상으로 지속적인 민원이 빗발치는 곳이다. 평일 출퇴근 시간 또는 주말에는 김해시청에서 창원시청까지 왕복하는 데 3시간 이상이 걸리는 것은 일상다반사다.
특히 지난 2017년 11월 윤활유를 실은 화물차가 창원터널을 지나 창원 시내 방향 내리막길을 달리다가 브레이크 파열로 중앙분리대와 출돌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 사고로 윤활유 통이 튕겨 나가면서 반대편 차로를 달리던 차량을 덮치고, 폭발해 3명이 숨지는 대형 사고가 있었다. 이처럼 창원터널은 많은 시민이 이용해 자칫 작은 사고가 대형 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이에 비음산터널 개통이 한 가지 자구책으로 떠올랐지만 10여년 째 터널 개통에 대해 창원과 김해의 갈등이 조율되지 못하고 제자리걸음 중이다.
비음산터널은 창원시 의창구 토월동과 김해시 진례면 사이에 있는 비음산을 뚫어 두 지역을 도로로 연결하는 사업이다. 2006년 대우건설이 민간투자사업으로 제안한 것을 시작으로 시민들의 입방아에 올랐다. 비음산터널 개통은 사업비 2048억원을 들여 3.015kn의 터널을 개설하고 접속도로 등 왕복 4차로 5.9km를 개설한다는 것이 골자다.
비음산터널 개통에 대해 창원시는 "비음산터널이 뚫리면 창원 인구가 집값이 좀 더 저렴한 김해로 빠져나갈 수 있다"는 입장이다. 또한 최근 창원시정연구원에 비음산터널 건설 타당성 검토를 의뢰한 결과 터널 건설이 경제성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터널이 건설되면 창원 쪽 진출입로 교통정체와 대기오염 등의 환경문제, 인구유출 등의 부작용이 클 것으로 분석했다.
이와 반대로 김해시는 "비음산터널 개통은 인접한 두 도시 간의 교류 차원에서나 경남도의 발전 등을 감안하면 조속히 추진되야할 사업이다"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에 김해시는 경남도에 제2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비음산터널 건설을 반영해 달라고 건의한 바 있다.
양 시의 이해관계가 집착 수준에 달하자 이를 조정할 경남도의 역할이 주목되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비음산터널이 동부경남의 발전과 창원터널의 교통난 해소 등 도민 편의 증진을 위해 필요한 사업"이라면서도 "하지만 양 시의 입장 차이로 진전이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비음산터널은 창원시와 김해시가 사업 추진을 합의해야 추진이 가능하며, 개설에 따른 건설보조금과 보상비 등 재정지원금 분담과 창원-부산 간 도로 통행량 감소분에 대한 손실보전 등 재정부담 문제가 있어 논의해야 할 사항이 많다"며 "경남의 발전을 위해서 필요한 사업이지만,일방적으로 한 지역의 희생을 강요하지 않고 상생할 수 있도록 적극 중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cmedia@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