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제2의 도시' 부산은 조만간 타 도시에 그 자리를 내 줄 전망이다. 마땅한 일자리가 없어 청년이 떠나면서 자연스레 인구는 감소하고 고령화는 빨라지고 있다. 한때 400만을 자랑하던 부산 인구는 급기야 340만 명 이하로 감소했다. 암울한 부산 인구절벽의 실태와 대책 등을 살펴본다.<편집자 주>
부산 인구 400만→340만…2~3년내 인천이 추월할 듯
[더팩트ㅣ부산=조탁만·김신은 기자] 부산의 인구가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다. 가파른 인구 감소세를 막지 못한다면 수년 내에 인천시와 경남도에 밀릴 것으로 예측된다.
◆인천‧경남 이어 ‘제4의 도시’ 전락 우려
부산의 인구 감소세가 그 어느 때보다 가파르다. 최근 10년간 부산에서 한 해 평균 1만명 이상 빠져나가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그동안 지속돼 온 저출산·고령화에 청년인구 역외유출, 기업 이탈에 더해 올해 불어닥친 코로나19로 인해 부산경제는 역대 최악의 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 1995년부터 올해 9월까지 최근 25년간 부산의 인구 추이를 살펴보면 1995년 388만3880명에서 올해 9월 339만9749명으로 48만4131명이나 줄었다. 이는 경주시(올해 9월 기준 25만3396명)와 같은 ‘중형 도시’ 두 개가 사라진 것과 같다.
부산은 한때 인구 400만명에 근접했으나 5년 전 350만명 선이 무너진 후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지난 9월에는 340만명 선마저 깨졌다. 특히 최근 들어서는 한 해 평균 1만5400명 이상이 부산을 떠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대로라면 15년 뒤에는 300만명 선조차 무너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반해 인천시는 1995년 235만3073명에서 지난해 295만7026명으로 60만3953명이나 늘었다. 이는 최근 10년 동안 매년 2만4600명씩 증가한 것이다. 부산의 감소세와 인천의 증가 속도를 단순 계산하더라도 2~3년 내 ‘제 2의 도시’라는 타이틀을 인천에게 내줘야 할 판이다.
게다가 경남 인구수(334만3770명·2020년 9월 기준)도 5만6000명 차이로 부산을 바짝 추격하고 있다. 실제 지난 10년간 부산과 경남의 인구 추이를 보면 올해 9월까지 부산은 15만4000명이 줄었지만 경남은 7만2000명이 늘어나 조만간 역전될 전망이다.
◆원도심 인구 감소 두드러져…해운대·기장·강서 등 신도시 지역만 유입
1995년부터 2019년까지 24년간 부산 16개 구·군별 인구 감소폭을 보면 원도심 인구 감소가 눈에 띄게 두드러진다. 원도심 중 중구와 서구, 동구, 영도구 4개 구에서만 25만2731명이 떠났다.
같은 기간 원도심을 제외하곤 부산진구가 부산에서 인구 감소폭(10만4362명)이 가장 높았다. 1995년 부산진구의 인구는 46만2242명으로 부산에서 가장 많았다. 당시 신발공장 등 제조업이 이곳을 중심으로 활황을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해운대구에 인구수 ‘1위’ 자리를 내어주고 최근에는 35만7880명만이 남는 등 가장 많이 빠져나갔다.
부산진구에 이어 영도구가 9만2122명이 떠났으며 그 뒤를 이어 사상구(7만5830명), 금정구(7만2972명), 서구(7만681명), 사하구(6만7530명), 동구(6만 6339명), 남구(4만6265명), 동래구(4만1929명), 연제구(3만9513명), 수영구(2만6550명), 중구(2만 3589명) 등 순이었다.
북구의 경우 1995년 28만3351명에서 2019년 29만1132명으로 7781명이 증가했으나, 최근 10년간만 놓고 볼때는 4800명이 줄었다. 매년 480명씩 지역을 떠나는 셈이다. 특히 북구는 전체 예산의 70.4%를 사회복지비로 지출할 만큼 고령화 속도가 빠른 지역이기도 하다.
반면 같은 기간 해운대구에는 10만1007명이 유입됐다. 1995년 해운대구의 인구는 30만5095명으로 부산진구·동래구·남구·사하구·금정구보다 적었지만, 지난해 40만6102명으로 늘어 부산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사는 지역으로 발돋움했다. 이는 부산시의 개발과 투자가 이 지역에 집중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해운대구와 인접한 기장군도 1995년에는 7만2072명에 불과했지만 지난해에는 9만2643명이 늘어난 16만4716명으로 집계됐다. 인구가 2배 이상 늘어난 것은 정관신도시 등이 들어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밖에 명지국제신도시가 들어선 강서구도 1995년 7만3354명에서 2019년에는 12만9566명으로 5만6212명 늘었다.
▶관련 기사
[TF기획-'인구절벽 부산' ②] 청년이 떠나는 도시…'양질의 일자리'가 없다
[TF기획-'인구절벽 부산' ③]생기 잃고 늙어가는 '저출산‧고령화' 도시
hcmedia@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