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한국과 북한이 '노벨경제학상'을 안겨줬다고? (영상)

[더팩트ㅣ선은양 기자] 노벨상의 대미를 장식하는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국가 간 부의 차이를 연구한 다론 아제모을루·사이먼 존슨 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교수와 제임스 A 로빈슨 미국 시카고대 교수에게 돌아갔습니다.

그런데 어쩌면 이 교수들은 한국 덕분에 경제학상을 받은 걸지도 모릅니다. 어떻게 된 일이냐고요?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세 교수를 올해 경제학상 수상자로 발표했습니다. 위원회는 "국가 간 소득 차이를 줄이는 것이 우리 시대의 큰 과제 중 하나인데, 세 교수가 이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적 제도의 중요성을 입증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습니다.

이어 "법치주의가 부족하고 인구를 착취하는 제도가 있는 사회는 성장이나 더 나은 변화를 만들어내지 못한다. 수상자들의 연구는 그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10일 경기도 파주시 오두산 통일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의 모습./장윤석 기자

이들은 국가 번영과 성장에 있어 제도의 역할을 강조해 왔습니다. 아제모을루·로빈슨 교수는 함께 펴낸 저서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에서 분단 이후 한국과 북한의 모습을 비교하면서 제도의 차이를 강조했는데요.

이들은 번영의 요소로 '민주주의'와 '포용적 제도'를 제시합니다. 한국은 분단 이후 민주주의를 통해 사유 재산이 보장되고 법치주의가 적용되며 직업 선택이 자유로운 '포용적 경제 제도'를 택한 결과 번영을 누렸다는 것이 이들의 생각입니다.

반면, 북한은 소수만 큰 이익을 챙기는 '착취적 경제 제도'를 도입하면서 빈곤해졌다고 설명합니다. 요컨대 국가의 성패를 가르는 결정적 요인은 지리적·역사적·인종적 조건이 아니라 '제도'라는 것입니다.

로빈슨 교수는 최근 세계 문화계를 휩쓸고 있는 'K콘텐츠'도 포용적 경제 제도가 만든 결과물이라는 해석을 내놨습니다. 그는 "한국의 창의성이 삼성이나 현대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K팝과 K드라마, K영화도 포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과 중국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을 냈습니다. 아제모을루 교수는 "북한에 대해선 큰 희망을 갖고 있지 않다. 북한 시스템은 현 시점에서 굳어진 상황"이라고 평가했습니다.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사이먼 존슨·제임스 A 로빈슨 다론·아제모을루 교수(왼쪽부터)./노벨상 공식 홈페이지

한편 노벨상은 1901년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제정된 상입니다. 노벨경제학상은 이로부터 67년 후인 1968년 스웨덴 국립은행이 창립 300주년을 맞아 제정했고, 1969년부터 경제학 분야에서 뚜렷한 지적 공헌을 한 사람에게 매년 수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까지 노벨경제학상 55개가 수여돼 93명이 상을 받았습니다. 상의 정식 명칭은 '알프레드 노벨 기념 스웨덴 중앙은행 경제학상'이고, 수상자에게는 메달과 상금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4억 3000만 원)가 주어집니다.

yes@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