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화이트칼라 꼼짝마!'…챗GPT 탄생 그리고 1년 (영상)


챗GPT 등장 1년, 국내외 공룡 기업들 생성형 AI 경쟁 심화
의사·변호사 등 고소득 직군 AI 노출 지수 높아 대체 가능성↑

[더팩트ㅣ선은양 기자] 2022년 11월 30일, 전무후무한 인공지능(AI), '챗GPT'가 세상에 나왔습니다. 그로부터 1년, 우리의 삶은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챗GPT는 '오픈AI(OpenAI)'라는 기업에서 만든 '생성형 AI' 챗봇입니다. 생성형 AI는 온라인상의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이용자의 질문에 대한 정교한 답을 내놓데요. 인공지능이라 하면, AI 스피커 '기가지니'나 AI 음성 비서 '시리(Siri)' 정도의 기능을 기대했던 사람들 앞에 나타난 챗GPT는 강력했습니다.

논문 같은 어려운 텍스트를 순식간에 요약하는 건 물론이고 문학이나 예술처럼 인간의 영역이라고 여겼던 창작에서도 뛰어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챗GPT의 역량에 전 세계가 술렁였습니다.

그렇게 '생성형 AI'의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이어서 챗GPT로 구동하는 AI 검색엔진 '빙(Bing)'을 내놓았고, 구글도 AI 챗봇 '바드(Bard)'를 공개했습니다.

지난 6일에는 챗봇 바드에 탑재될 대규모 언어모델 '제미나이(Gemini)'를 새롭게 공개하며, 챗GPT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가진 AI라고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이밖에 국내 기업 네이버가 만든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 MS의 '코파일럿(Copilot)', 아마존(Amazon)의 생성형 AI 비서 '아마존 큐(Amazon Q)' 등 국내외 공룡 기업들의 AI 경쟁이 치열합니다.

전 세계 IT 공룡기업 중심으로 생성형 AI 경쟁이 치열하다. /정용무 기자

◇첫 돌 맞은 생성형 AI, "챗GPT 없이 못살아"

생성형 AI의 도입은 1년 사이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변화시켰습니다. 챗GPT 유료 버전을 사용한다고 밝힌 직장인 최모 씨는 "업무 중 브레인 스토밍을 하거나 프레젠테이션을 구성할 때 주로 사용한다"며 "생성형 AI가 업무 효율을 크게 높였다"고 말했습니다.

대학원생 신모 씨도 "논문을 요약하거나 영어 발표 대본을 수정할 때 AI가 실수를 줄여준다"며 생성형 AI의 장점을 강조했는데요.

오픈AI에 따르면 미국 경제전문지 포천(Fortune)이 선정한 세계 500대 기업 중 92%가 기업 활동에 챗GPT를 사용하고 있으며, 챗GPT의 주간 활성 이용자 수는 1억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또 최근 MS에서 내놓은 코파일럿은 엑셀·워드·파워포인트 작업을 대신하는데, MS 조사에 따르면 사용자의 70%가 '생산성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했습니다.

지난 6일 구글이 AI 챗봇 바드(BARD)에 탑재될 대규모언어모델(LLM) 제미나이(Gemini)를 공개했다. /더팩트 DB

◇정보 편향·보안 문제 넘어 AI에 대체될까 우려

생성형 AI가 우리들의 업무나 학습 생산성을 높인 건 분명한 사실이지만, 여러가지 논란도 존재합니다. 생성형 AI는 이미 생산된 데이터를 학습하기 때문에 성별, 인종, 사회 계층 등에 대한 편향된 정보를 출력할 우려가 있습니다.

개인정보 보호 문제도 존재하는데요. 사용자가 챗봇과 대화를 하다보면 민감한 개인정보를 입력할 우려가 있는데, 이 정보들을 어떻게 처리하고 보호할 지에 대한 정책이 미비합니다.

실제로 지난달 9일 오전 챗GPT 접속이 1시간 30분가량 차단되는 사태가 발생했는데 오픈AI는 이에 대해 "챗GPT가 디도스 공격을 받았지만 고객정보는 유출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이로 인해 오픈AI에 투자한 MS 조차 직원들의 내부 기기에 챗GPT에 접속할 수 없도록 웹 사이트를 차단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똑똑해도 너무 똑똑한 생성형 AI에 의해 내 직업이 대체될까 우려하는 사람도 늘고 있습니다.

OECD가 내놓은 2023년 고용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OECD 7개국 내 제조업·금융업 기업 2000곳에서 근로자 53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근로자 5명 중 3명이 향후 10년 내 AI로 인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한지우 조사역, 오삼일 팀장)이 발표한 ‘AI와 노동시장 변화’(BOK 이슈노트) 보고서에 따르면 AI 노출 지수가 높을수록 고용 비중이 줄고 임금 상승률은 낮아진다고 합니다. 다시 말해 AI 노출 지수가 높을수록 AI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는 말입니다.

AI 노출 지수가 높은 일자리에는 화학공학 기술자, 발전장치 조작원, 철도 및 전동차 기관사, 상하수도 및 재활용 처리 조작원, 금속재료 공학 기술자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특히 AI 노출 지수가 높은 직업 세분류표를 살펴보면, 대표적인 고소득 직업으로 분류되는 일반 의사(상위 1% 이내), 전문 의사(상위 7%), 회계사·자산운용사(상위 19%), 변호사(상위 21%) 등이 포함되었는데요. 보고서는 이러한 일자리들이 대용량 데이터를 활용해 업무를 효율화하기에 적합하다고 내다봤습니다.

◇의사소통 능력 등 사회 기술 각광 받는 시대

1년 사이 생성형 AI가 우리 사회에 불어온 반향은 그리 가볍지만은 않습니다. 인류의 전유물이라 굳게 믿고 있던 창작의 영역을 침범하고, 인류가 피나는 노력을 해야 얻을 수 있는 소위 고소득 직군들의 아성을 흔들고 있습니다.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변하는 세상 속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전문가들은 AI가 노동시장에 끼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만 보지 않습니다. 새로운 기술은 새로운 업무와 일자리를 창출하기 마련이니까요.

대신 AI가 발달할수록 노동시장에서 노동자의 소프트 스킬을 강조합니다. 발달한 AI는 반복 업무뿐 아니라 인지 업무까지 대체할 수 있으므로 원만한 의사소통 능력이나 팀워크 능력과 같은 사회 기술이 더 각광받는 시대가 될 것으로 예측합니다.

yes@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