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형 늘봄 플러스' 5700명으로 확충…내달부터 초2까지


귀가 때 보호자에게 직접 인계

양천 거점형 키움센터 활동사진(드럼 프로그램)./서울시
양천 거점형 키움센터 활동사진(드럼 프로그램)./서울시

[더팩트ㅣ설상미 기자] 서울시가 내달 ‘늘봄학교’ 초등학교 2학년 확대에 맞춰 '서울형 늘봄+(플러스)'를 총 5700명 규모로 확충한다.

서울시는 시가 보유한 초등돌봄시설, 문화·체육 인프라를 활용한 ‘서울형 늘봄 플러스'를 내달 4일부터 확대 운영한다고 27일 밝혔다.

서울시는 서울시교육청과 협력해 학교 정규수업 후 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국가사업인 늘봄학교에 시가 보유한 공간과 인력을 지원해 '서울형 늘봄 플러스'를 운영해왔다.

서울형 늘봄 플러스 중 거점형 키움센터·지역아동센터 등 초등돌봄시설 연계형은 지난해 6개소(218명)에서 올해 26개소(700명) 규모로 확충했다.

시립청소년센터, 시립미술관 등 시가 보유한 시설을 이용한 문화·체육시설 연계형은 지난해 8개 기관 10개 프로그램(최대 500명 규모)에서, 24개 기관 56개 프로그램(최대 5000명 규모)으로 확대 제공할 예정이다.

구로 거점형 키움센터 활동사진(클라이밍 프로그램)./서울시
구로 거점형 키움센터 활동사진(클라이밍 프로그램)./서울시

이외에도 서울시는 지자체가 보유한 공간과 프로그램을 늘봄학교와 연계하기 위해 광역협의체(시-교육청) 및 기초협의체(자치구-교육지원청)를 정기적으로 운영하여 시·구 자원을 신속하게 연계·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

교육부의 강화된 안전관리 방안에 따라, 늘봄 플러스에 참여한 초등 1~2학년이 귀가하는 경우 학교 내에서 현관 등 인계지점까지 인솔하고, 학부모 등 사전에 지정된 보호자에게 직접 인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김선순 서울시 여성가족실장은 "늘봄학교의 지원 대상을 초2까지 안정적으로 확대하려면,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서울시 자체 늘봄 브랜드인 서울형 늘봄+(플러스) 운영을 확대해 양육자와 학생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질 높은 방과 후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snow@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