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윤경 기자] 여야가 22대 국회에서 지구당 부활을 논의하는 가운데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6일 "기득권 중앙 정치인이 지역 정당조직을 독점하는 구조부터 해결하라"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17개 시·도당 및 서울시 당협위원회 위원장 선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경실련 조사 결과 17개 시·도당 위원장 선출 과정에서 더불어민주당은 6곳(35.3%), 국민의힘은 15곳(88.2%)에서 위원장을 단독출마로 선출했다. 현직 시·도당 위원장 중 여야 모두 1인당 평균 5.3년의 선출직 경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실련은 "권리 당원의 선택권이 제한되고 있다"면서 "시·도당은 다년간 선출직 경험을 보유한 기득권 정치인들에 의해 운영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었다.
특히 서울시 당협위원장(지역위원장) 대부분이 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한 중앙 정치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의 경우 서울시 48명 당협위원장 중 47명이 지난 총선에 출마했으며, 국민의힘의 경우 41명이 지난 총선에 출마했다.
경실련은 "당협위원장 역시 대부분 22대 국회의원 선거의 당선자 혹은 낙선자들로 중앙 정치인으로 보인다"며 "중앙 정치인이 지역 정치조직도 장악할 경우 풀뿌리 민주주의와 분권의 취지를 살리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동훈 대표와 이재명 대표는 지구당 부활을 꾀하는 의도가 정녕 풀뿌리 민주주의라면 중앙 정치인이 지역의 정당조직을 독점하고 있는 현 기득권 구조부터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시도당 및 당협위원회의 민주적 운영', '국회의원·지방의원·지방자치단체장의 시도당 및 지구당 운영위 참여 배제', '지구당 및 당협위원회 위원장 당원 직접선출', '국회의원의 시도당 위원장 및 당협위원회 위원장 겸직 금지 등을 추진' 등을 제안했다.
지구당은 과거 국회의원 선거구 단위에서 당원 관리, 교육, 민원 해결 등의 역할을 맡았다. 다만 막대한 운영비와 부정부패 문제 등으로 지난 2004년 폐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