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헌일·장혜승 기자] 한강 리버버스 사업이 민간업체의 배만 불리는 사업이라는 비판에 서울시가 정면으로 반박했다.
재정지원은 친환경 대체교통수단 활성화를 위해 최소한의 수준으로 제한할 방침이고, 수익도 민간업체에 모두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는 반론이다.
서울환경연합은 8일 오전 10시 30분쯤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강 리버버스는 시 재정으로 적자를 충당하는 무리한 사업이라며 전면 재검토를 요구했다.
리버버스는 오 시장이 추진하는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하나로, 김포부터 잠실 구간을 오가는 수상버스다. 시는 디젤 선박 대신 친환경 선박 조기 도입 등 공공성 강화와 초기 안정적 운영, 교통복지 차원에서 시민편익을 강화하기 위해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민간업체와 함께 지분 투자 형식으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서울환경연합은 민간사업자로 참여하는 ㈜이크루즈가 적자가 나면 서울시 재정으로 지원받고 흑자가 나면 이익을 갖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또 리버버스 선착장을 다른 대중교통과 연계하더라도 이동시간 측면에서 이점이 없어 활성화가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이다.
시 미래한강본부가 서울시의회에 제출한 비용추계서에 따르면 리버버스는 2024년부터 6년간 약 80억900만 원의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예상 탑승률은 20%로 200인승 선박에 40명만 타는 수준이다.
서울시는 사업구조에 대한 오해가 있다는 입장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민간업체만 배를 불린다는 식의 주장은 사업구조를 오해한 것"이라며 "재정지원은 사업자의 투자액을 보전하는 형태가 아니라 초기 운영 과정에서 수입과 지출을 비교해 최소한의 범위에서 지원을 검토하는 형태"라고 해명했다.
또 수익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민간사업자가 모두 가져가는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아직 참여가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SH공사, 시 등이 나눠갖는 구조라는 것이다.
특히 민간사업자의 투자액이 초기 제안 당시보다 크게 늘어났다는 점도 강조했다. 시의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이라는 정책 방향에 발맞춰 친환경 선박을 도입하기로 하는 등 이유로 민간사업자의 부담이 한층 커져 초기 운영비 등을 포함해 수백 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교통수단으로서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주장도 수치를 인용해 반박했다. 예컨대 김포골드라인 고촌역에서 여의도 구간의 경우 지하철로 이동 시 9호선 급행열차 기준 30분, 일반열차 42분이 걸린다. 반면 리버버스를 이용하면 같은 구간을 약 30분에 이동할 수 있어 시간적으로 경쟁력이 있다는 계산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재정지원은 현재 관련 협의를 진행 중으로 초기 안정적 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 최소한의 범위에서 이뤄질 것"이라며 "리버버스 같은 수상교통수단이 활성화된 런던, 뉴욕 등 도시들도 초기 사업안착과 이용요금 통제 등 공공성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정책수단을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하철, 버스 등과의 환승할인, 기후동행카드 적용, 합리적 이용요금 책정, 친환경 대체교통수단 활성화 등 시민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편익을 최대화하는 것을 사업의 최우선 가치로 삼아 사업을 내실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hone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