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서 '희귀 장면' 포착...관람객들 환호와 박수
[더팩트ㅣ이헌일 기자]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육지거북인 설카타 육지거북이 뒤집어진 친구가 다시 뒤집도록 도와주는 장면이 최근 서울대공원에서 포착됐다.
서울대공원은 이 영상을 홈페이지 '대공원영상'에서 공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영상은 대공원의 한 설카타 육지거북이 뒤집어진 친구를 몸으로 밀어 원상태로 돌려주는 모습이다. 설카타 육지거북은 다른 거북과 달리 등껍질이 높아 스스로 몸을 뒤집지 못한다.
몸을 뒤집지 못하면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물을 마실 수 없고, 특히 야생에서는 뜨거운 햇빛 아래 그대로 노출돼 말라 죽을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이다.
특히 파충류는 교감보다는 본능이 우선인 동물로, 사육사들도 거북이의 이타적인 행동은 직접 목격한 일이 거의 없다고 한다. 뒤집어지면 위험하다는 것을 알고 도와준 것일 수도 있고, 앞으로 움직이는 데 방해가 되어 밀어보는 모습이 도와주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서울대공원 측 설명이다.
이 장면을 지켜본 관람객들은 탄성을 토해내며 설카타 거북이 동료의 도움을 받아 정상으로 돌아가자 환호와 함께 박수를 보냈다.
설카타 육지거북은 갈라파고스 코끼리거북, 알다브라 코끼리 거북 다음으로 큰 육지 거북으로, 평균 90㎝까지 자라는 국제멸종위기종이다. 중앙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주로 서식하며, 한국에서는 민며느리발톱거북이라고도 한다.
이름에 들어간 설카타(Sulcata)는 라틴어로 '고랑'을 뜻하는데, 등껍질의 모양이 고랑처럼 패여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보통 동물원에 있는 파충류는 실내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설카타육지거북의 방사장은 잔디가 깔린 야외 공간으로, 동물들의 행동반경도 훨씬 넓어지고 일광욕도 할 수 있다.
방사장 한가운데는 얕은 연못도 있다. 설가타 육지거북은 수영을 전혀 못하지만 물에 들어가면 배변활동을 돕고 원활한 요산 배출과 변비가 예방된다.
hone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