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박지윤 기자] 마지막까지 백성과 나라를 생각한 이순신 장군의 최후와 100분에 달하는 해전신, 오로지 극장에서만 느낄 수 있는 감동 여운 메시지 카타르시스가 가득 담겨 있다. 10년간 달려온 이순신 프로젝트의 대미를 화려하게 장식한 '노량: 죽음의 바다'다.
지난 20일 스크린에 걸린 영화 '노량: 죽음의 바다'(감독 김한민)는 임진왜란 발발 후 7년, 조선에게 퇴각하려는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기 위한 이순신 장군(김윤석 분)의 최후의 전투를 그린다.
'노량'은 1761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대한민국 최고 흥행 역사를 기록한 '명량'(2014)과 2022년 팬데믹을 뚫고 726만 명의 관객을 기록한 '한산: 용의 출현'의 뒤를 잇는 '이순신 3부작'의 마지막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개봉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작품은 임진왜란 7년째로 접어든 1598년, 왜군의 수장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서의 퇴각 명령을 내리고 죽음을 맞는 것으로 시작한다. 조선과 조명연합함대를 꾸린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정재영 분)은 왜군의 뇌물 공세에 넘어가 퇴로를 열어주려고 한다.
하지만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는 것이 전쟁을 올바르게 끝내는 것이라 생각한 이순신은 왜군의 퇴각로를 막은 후 적들을 섬멸하기로 결심한다. 이 가운데 왜군 수장이자 최고 지휘관 시마즈(백윤식 분)의 살마군은 왜군의 퇴각을 돕기 위해 노량으로 향한다.
전반적으로 '노량'은 전작들과 비슷한 흐름으로 전개된다. 조선과 왜 그리고 명이 처한 상황과 각국 캐릭터를 세세하게 훑으며 해전신 전까지 약 1시간을 할애해 다소 지루하거나 늘어진다고 느낄 수 있다.
이후 임진왜란 7년간의 수많은 전투 중 가장 성과 있는 승리를 거두며 전쟁의 종전을 알린 전투이자 유일한 야간전인 노량해전이 약 100분 동안 치열하게 펼쳐진다.
전투 초반 거북선이 등장하고 탄탄한 지략을 바탕으로 바다 위에서 화공 작전이 펼쳐지면서 단숨에 관객들의 이목을 집중시킨다. 또한 명에서 조선으로 그리고 왜군의 시선을 따라가다가 이순신 장군을 조명하는 롱테이크 기법으로 담아낸 액션 시퀀스는 이 영화의 백미다.
이순신 생의 최대 규모 해전을 담은 '노량: 죽음의 바다'는 물 없이 구현해 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놀라운 스케일을 자랑한다. 김한민 감독은 '명량'과 '한산: 용의 출현'의 노하우를 집약해 야간전을 명확하고 선명하게 담아내며 100분 동안 긴장감과 몰입감을 유지한다. 극장에서 영화를 봐야 하는 이유다.
김윤석은 최민식과 박해일에 이어 이순신을 연기한다. '명량'의 최민식이 용장(勇將: 용맹한 장수)이고 '한산: 용의 출현'의 박해일이 지장(智將: 지혜로운 장수)이었다면 김윤석은 현장(賢將: 현명한 장수)이다.
김윤석의 말처럼 "잘해야 본전"인 역할이지만 그는 많은 말을 하지 않고 담담하면서도 묵직한 눈빛으로 이순신의 카리스마와 결연함을 표현한다. 동시에 아들을 잃은 아버지의 슬픔도 담아낸다. 이렇게 김윤석은 전작들의 이순신을 아우르면서도 독보적인 아우라를 자아내며 또 다른 이순신을 완성한다.
극 후반 온 힘을 다해 북을 치며 군사들의 사기를 돋우는 장면은 김윤석의 묵직한 존재감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다. 또한 '내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말라'는 이순신의 최후가 예상보다 담백하게 그려지지만, 그럼에도 관객들을 울리는 이유는 김윤석의 힘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김윤석을 비롯해 백윤식 정재영 허준호 김성규 이규형 이무생 등 많은 인물이 등장해 탄탄한 연기력과 앙상블로 극을 더욱 풍성하게 한다. 여진구와 이제훈의 특별 출연도 눈길을 끈다.
이 가운데 명나라 언어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캐릭터를 입체적으로 그려낸 정재영과 이순신을 향한 더 깊어진 신념으로 마지막까지 의를 지킨 준사 역의 김성규가 강한 인상을 남긴다.
'역사가 곧 스포'이기에 국민이라면 영화의 결말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그럼에도 이순신 장군의 마지막이 스크린에 옮겨지니 가슴은 뜨거워지고 눈시울은 붉어진다. 10년간 열심히 달려온 '이순신 3부작'의 마침표를 성공적으로 찍은 '노량'이다. 12세 이상 관람가이며 러닝타임은 153분이다. 쿠키영상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