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김샛별 기자] 우리나라 대기업 신입사원 연봉이 처음으로 5000만 원을 넘어섰다. 일본 대기업과 비교해도 많은 금액을 지급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중소기업과 격차는 더 벌어졌다.
12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2023년 기준 고용노동부 고용 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학교를 졸업한 정규직 신입 근로자의 초임은 평균 3675만 원(초과급여 제외한 연 임금 총액)으로 집계됐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사업체 대졸 정규직 초임이 평균 5001만 원, 1~299인 사업체가 3238만 원, 30~299인 사업차가 3595만 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5인 미만 업체는 2731만 원으로 300인 이상 사업체의 54.6%에 불과해 사업체 규모별 임금 격차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초과급여를 포함한 임금 격차는 더 컸다. 대졸 정규직 근로자 평균 초임은 3810만 원인 가운데 300인 이상 사업체가 5302만 원 5인 미만 사업체가 2750만 원으로 나타났다. 300인 이상 사업체 신입의 초과급여가 연 301만 원인 반면 5인 미만 사업체 신입은 19만 원 발생한 셈이다.
그런가 하면 한국과 일본 간 대졸 초임을 비교했을 때 모든 규모에서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높고, 규모가 클수록 차이도 더욱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우리나라 대졸 평균 초임(10인 이상)은 4만 5401 달러(약 6700만 원)로 일본(3만 4794 달러, 약 5100만 원)보다 30.5% 높았다.
양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졸 초임 역시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높았고, 대기업 기준으로는 26.5%p의 격차가 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가 일본보다 대·중소기업 간 대졸 초임 격차가 훨씬 큰 이유는 우리 대기업 초임이 일본보다 지나치게 높기 때문"이라며 "이는 노동시장 내 일자리 미스매치 심화,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확대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우리 대기업의 전반적인 고임금 현상은 높은 대졸 초임에 연공형 임금체계, 노조 프리미엄까지 더해진 결과"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생산성에 비해 과도한 고임금은 지속 가능할 수 없다"며 "과도한 대졸 초임 인상을 자제할 필요가 있으며 결국 일의 가치와 성과에 따른 합리적인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임금체계로 바꾸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