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업계 신사업 꼽힌 '가상자산 ETF'···당국은 "아직"


해외선 금융권 자산군으로 받아들여지는 추세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권 수장들은 연초 가장자산 ETF를 자본시장 활성화 신사업으로 낙점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이라진 기자] 금융권 수장들이 가상자산 상장지수펀드(ETF)를 우리 자본시장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낙점하면서 그 배경과 이유에 관심이 쏠린다. 이 가운데 금융당국은 가상자산 ETF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금융 인프라를 혁신하고 디지털 자산시장에서 금융투자회사들이 신성장 기회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면서 "토큰 증권 법제화, 가상자산 ETF 등 가상 자산 관련 금융투자회사의 비즈니스 확대 추진을 통해 디지털 자산시장이 우리 자본시장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 역시 '2025년 증권·파생상품시장 개장식’에서 "글로벌 거래소들의 주요 수익원인 데이터·인덱스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수수료 중심의 수익구조를 다변화해 나가겠다"면서 "가상화폐 ETF 등 신규사업에 대한 해외 사례를 잘 벤치마킹해 자본시장의 새로운 영역을 모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같이 금융권 수장들이 잇따라 가상자산 ETF를 미래 먹거리로 지적한 배경은 해외 시장에서 가상자산 ETF 투자가 활발하게 이어지며 시장에 많은 자금이 유입되고 있는 최근 흐름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미국에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지난해 1월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한 뒤 1년도 채 안 돼 약 350억달러(약 51조원)이 넘는 자금이 시장에 유입됐다. 지난달에는 미국의 비트코인 현물 ETF 운용자산 규모가 1290억달러(약 185조원)을 돌파했다. 이로써 미국 금 ETF 운용자산 규모를 넘어서기도 했다. 해외에서는 가상자산이 투기 자산이 아닌 기존 금융권의 자산군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가상자산에 대해 보수적인 태도를 내비쳤다. 지난 8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 따르면 금융위 산하 가상자산위원회(이하 가상자산위)는 법인의 가상자산거래소 실명계좌 발급을 단계적으로 허용하는 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권대영 사무처장은 브리핑을 통해 "(가상자산 현물 ETF 허용은) 많이 앞서나간 것 같다"며 "변화가 전 세계적으로 있다는 것을 정부도 충분히 인지하고 있기에 가상자산위를 통해 논의해 나가겠다"고 선을 그었다.

이에 따라 국내 투자자와 자본시장 기관들이 가장자산을 향후 자본시장 활성화를 위한 일환으로 낙점하고 있지만, 올해에도 가상자산 ETF 거래가 힘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금융권 수장들이 언급한 만큼 가상자산 ETF 등장의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라면서도 "미국 등에서 가상자산의 제도권 편입이 활성화되고 있고 트럼프가 집권하면 이런 흐름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관측되지만 금융당국은 조심스러운 입장으로 빠른 시일 내에 금융권에 안착되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rajin@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